“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사마정(司馬貞)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문신ㆍ사학자. 홍문관 학사(弘文館學士) 등을 지냈으며, 《사기(史記)》의 주석서인 《사기색은(史記索隱)》을 저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마천(司馬遷)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학자. 흉노(匈奴)에 투항한 벗 이릉(李陵)을 변호하다 궁형(宮刑)에 처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의 뒤를 이어 《사기(史記)》를 완성함. 중서령(中書令)을 지냄.
B.C.145?~B.C.8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마휘(司馬徽)
중국 후한(後漢)의 은자. 유현덕(劉玄德)이 사마휘에게 인재를 추천하여 주기를 청하였는데, 제갈량(諸葛亮)ㆍ방통(龐統)을 추천함. 제갈량(諸葛亮)ㆍ서서(徐庶) 등과 종유하며 은거생활을 하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사마희(司馬喜)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 사마창(司馬昌)의 아들이고, 사마담(司馬談)의 아버지이자, 사마천(司馬遷)의 조부로, 오대부(五大夫)의 관작을 받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매(謝邁)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사일(謝逸)의 종제로, 시문(詩文)에 뛰어나 사조(謝脁)에 비견됨.
1074~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사명존요집(四明尊堯集)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인 진관(陳瓘)이 지은 역사서. 왕안석(王安石)의 《일록(日錄)》에만 근거하여 개수(改修)한 《신종실록(神宗實錄)》에 대해 비판함.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묵(思黙)
조선 전기의 승려. 노수신(盧守愼)의 《소재집(穌齋集)》에 관련된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사문난적(斯文亂賊)
유학(儒學)의 교리와 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에 노론(老論) 계열이 남인(南人)ㆍ소론(少論) 계열을 탄압하는 명분으로 삼기도 했으며, 주자(朱子)와 다른 견해를 가진 사람들까지도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배격함.
사상>술어>관용어
-
사문불경왕자론(沙門不敬王者論)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승려인 혜원(慧遠)의 저서. 1권. 불교의 출가자인 사문은 세속을 떠난 자이므로 세속의 왕에게 경의를 표할 필요가 없다고 논한 것으로, 승려의 권리를 주장한 중요한 저작으로 꼽힘.
40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사문유취(事文類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축목(祝穆) 등이 편찬한 유서(類書). 총 236권. 고금(古今)의 서적에 나오는 요어(要語)ㆍ사실(事實)ㆍ시문(詩文) 등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수록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물기원(事物紀原)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인 고승(高承)이 편찬한 유서(類書). 천지(天地)ㆍ산천(山川)ㆍ조수(鳥獸)ㆍ초목(草木)ㆍ음양(陰陽)ㆍ예악(禮樂)ㆍ제도(制度) 등을 55부(部)로 나누어 사물의 유래를 상세하게 설명한 백과사전.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미원(史彌遠)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재상. 재상 한탁주(韓侂冑)를 죽이고 양후(楊后)와 결탁하여 권력을 잡았으며, 영종이 붕(崩)하자 조서를 위조하여 황태자 굉(竑)을 폐하고 이종을 세워 10년간 정권을 장악함.
1164~123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미인곡(思美人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인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고향인 창평(昌平)에서 지은 것으로, 임금에 대한 간절한 충정을 한 여인이 지아비를 사모하는 마음에 빗대어 표현함.
158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문헌>작품명
-
사반(史潘)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량(後梁) 때의 농부(農夫). 대장(大將)을 지낸 사홍조(史弘肇)의 아버지.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기타인명>양인
-
사방득(謝枋得)
중국 송(宋) 나라 말의 학자. 국운이 기운 송 나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원(元) 나라에 잡혀가 출사(出仕)를 거부하며 단식하다가 죽음. 저서로 《문장궤범(文章軌範)》이 있음.
1226~12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방해(四方解)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곽기수(郭期壽)가 저술한 책. 광해군(光海君) 때 저자가 부모 봉양을 위해 벼슬을 버리고 낙향한 후 유유자적하며 쓴 책으로 추정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사백선(史伯璿)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사서(四書)에 뛰어났고 주희(朱熹)의 뜻을 이어받아 《사서관규(四書管窺)》 및 《외편행세(外篇行世)》를 저술함.
1299~135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사변록(思辨錄)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인 박세당(朴世堂)이 사서(四書)와 상서(尙書)ㆍ시경(詩經)을 주해(註解)한 책. 경전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공맹(孔孟)의 본지를 밝혔으나, 주희(朱熹)의 경의(經義)에 반기를 든 해석을 했기 때문에 당시 정계ㆍ학계에 큰 물의를 일으켜 '사문난적(斯文亂賊)'이라는 낙인이 찍힘.
170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사부요략(四部要略)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이자 문인인 소자량(蕭子良)이 오경 백가(五經百家)를 초록하여 어람(御覽)의 예에 따라 엮은 책. 1000권. 제 나라 무제(武帝) 때 소자량이 계롱산(雞籠山) 서쪽으로 이주한 후 학사(學士)들을 모아 편찬함.
48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사빈서원(泗濱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김진(金璡)ㆍ김극일(金克一)ㆍ김명일(金明一)ㆍ김성일(金誠一)ㆍ김복일(金復一)을 배향함.
168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