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사사명(史思明)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신. 안녹산(安祿山)과 동향 출신으로, 그가 반란을 일으키자 가세함. 안녹산이 피살된 후 당에 투항하였으나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가 결국 아들인 사조의(史朝義)에게 피살됨.
?~76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사서(四書)
유교의 기본 경전인 《논어(論語)》ㆍ《맹자(孟子)》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을 통틀어 이르는 말. 송(宋) 나라의 대유(大儒)인 주희(朱熹)가 선정하여 명명하고 여기에 주석을 붙인 이후 널리 유행하였으며, 과거(科擧)의 공식 과목으로 사용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고증(四書考證)
중국 송(宋)~원(元) 나라의 학자인 김이상(金履祥)의 저서. 사서(四書)에 대해 고증을 한 것으로, 허겸(許謙)의 서문이 있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관규(四書管窺)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사백선(史伯璿)의 저서. 8권. 사서(四書)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학설을 널리 인용하여 주희(朱熹)의 집주(集註)와 차이나는 부분을 분석하여 논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대전(四書大全)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 때 한림학사 호광(胡廣) 등이 칙명을 받들어 편찬한 사서(四書)에 대한 주석서. 40권. 주로 주희(朱熹)의 주석에 대한 송(宋) 나라 유학자들의 설을 모아 엮음.
1415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몽인(四書蒙引)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학자인 채청(蔡淸)이 주희(朱熹)의 사서집주(四書集註)를 해석한 책. 15권. 가정(嘉靖) 연간에 장후(莊煦)가 정리하여 펴낸 것으로, 원래는 과거(科擧) 공부를 위해 만들어짐.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약설(四書約說)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이자 학자인 주공천(朱公遷)이 지은 사서(四書) 해설서. 4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註)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사서(四書)를 주석한 책. 《대학장구(大學章句)》 1권ㆍ《논어집주(論語集注)》 10권ㆍ《맹자집주(孟子集注)》 14권ㆍ《중용장구(中庸章句)》 1권 등 26권으로 구성되었으며, 언어학적 해석의 타당성과 철학적 기초의 보편성이 높이 평가됨.
121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장도(四書章圖)
중국 원(元) 나라 때의 학자인 정복심(程復心)이 주자(朱子)의 사서집주(四書集註)를 참고하여 도식(圖式)을 만들고 자기의 뜻을 덧붙여 만든 책. 22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집의정요(四書集義精要)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인(劉因)의 저서. 28권. 100권이나 되는 노효손(盧孝孫)의 《사서집의(四書集義)》가 너무 번잡하여 읽기에 불편하므로 그중에 요점만을 간추려 만듦.
1330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집주(四書集註)
중국 송(宋) 나라의 대유(大儒)인 주희(朱熹)가 사서(四書)를 주석(注釋)한 책. 《대학장구(大學章句)》ㆍ《중용장구(中庸章句)》ㆍ《논어집주(論語集注)》ㆍ《맹자집주(孟子集注)》를 통칭(統稱)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총 19권으로 알려짐.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토석(四書吐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윤근수(尹根壽)가 지은 사서(四書)의 해설서. 사서의 원문에 토(吐)를 달고 우리말로 언해(諺解)한 책으로 추정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사서통(四書通)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호병문(胡炳文)이 지은 사서(四書) 해설서. 26권. 조순손(趙順孫)의 《사서찬소(四書纂疏)》와 오진자(吳眞子)의 《사서집성(四書集成)》의 내용 중에 주희(朱熹)의 학설과 다른 것을 삭제하고 자기의 견해를 덧붙여 완성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통석(四書通釋)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황간(黃榦)이 지은 사서(四書)에 대한 해설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통지(四書通旨)
중국 원(元) 나라 학자인 주공천(朱公遷)이 지은 사서(四書) 해설서. 6권. 사서의 문장을 조목조목 분석하여 비슷한 종류끼리 부문별로 나누고, 각 부문마다 어의(語意)가 근사한 것을 관련지어 나열한 후 일일이 그 차이점을 분별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사서혹문(四書或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사서(四書)에 대한 제가(諸家)의 설을 모아 문답체로 서술한 책. 《대학혹문(大學或問)》 2권, 《중용혹문(中庸或問)》 3권, 《논어혹문(論語或問)》 20권, 《맹자혹문(孟子或問)》 14권의 총 39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석(謝石)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문신ㆍ무신. 사안(謝安)의 아우로, 383년에 정토대도독(征討大都督)에 임명되어 조카인 사현(謝玄)ㆍ사염(謝琰)과 함께 비수(淝水) 싸움에서 전진(前秦) 부견(苻堅)의 백만 대군을 격파함.
327~38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사선성시집(謝宣城詩集)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문신이자 시인인 사조(謝脁)의 시집(詩集).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 누초(樓炤)가 사조의 시문집 10권 중에서 시부(詩賦)만 뽑아 5권으로 간행함.
115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성통고(四聲通攷)
조선 세종(世宗) 때 신숙주(申叔舟) 등이 어명을 받들어 편찬한 운서(韻書). 너무 방대한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을 간략하게 줄여 엮은 운서로, 현전(現傳)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사세용(史世用)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유격장군(游擊將軍) 모국기(茅國器)의 참모가 되어 참전하였으며, 일본과의 강화(講和)를 주선하기 위해 왜적의 진영에 왕래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