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사소문(四小門)
조선 태조(太祖) 때 서울 도성(都城)의 사대문(四大門) 사이에 건립한 네 개의 소문(小門). 동북쪽의 혜화문(惠化門), 동남쪽의 광희문(光熙門), 서남쪽의 소의문(昭義門), 서북쪽의 창의문(彰義門)을 말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사수(泗水)
중국 산동성(山東省)에 있는 강. 산동성 사수현(泗水縣) 동쪽의 배미산(陪(尾山)에서 발원하여 남서로 흘러 공자(孔子)의 출생지인 곡부현(曲阜縣)을 거쳐 제령(濟寧) 부근에서 대운하(大運河)에 합쳐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사숙재집(私淑齋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강희맹(姜希孟)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初刊本)은 1483년(성종 14) 아들 강귀손(姜龜孫)이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함.
148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사숙태후(思肅太后)
고려 제13대 왕인 선종(宣宗)의 왕후. 본관은 인주(仁州). 공부 상서(工部尙書) 이석(李碩)의 딸이며, 헌종(獻宗)의 어머니. 어리고 병약한 헌종을 대신해 국정(國政)을 담당하였으나, 이자의(李資義)의 반란 등 혼란이 겹쳐 1년 만에 물러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만중(金萬重)이 한글로 지은 고전소설(古典小說). 숙종이 인현왕후(仁顯王后)를 폐출하고 희빈장씨(禧嬪張氏)를 왕비로 책봉한 사건에 대해 숙종을 깨우치기 위해 지음.
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남해 , 문헌>서명
-
사악(謝諤)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저서로 《양송명현소집(兩宋名賢小集)》과 《간재집(艮齋集)》을 남김.
1121~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안(謝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재상. 회계(會稽)의 동산(東山)에서 은거할 때 왕희지(王羲之) 등과 교유하고, 뒤늦게 벼슬하여 환온(桓溫)의 휘하에서 활약함. 재상이 되었을 때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자 이를 격파함.
320~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암집(思菴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순(朴淳)의 시문집. 5권 2책. 목판본. 저자의 외증손인 이문망(李文望)이 1652년(효종 3)에 유고(遺稿)를 모아 전주(全州)에서 초간함.
16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사양당집(四養堂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심충겸(沈忠謙)의 시문집(詩文集).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사양좌(謝良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제자로, 정좌(靜坐)와 거경(居敬)의 수양을 강조함. 북송(北宋) 말 구법당(舊法黨)에 대한 탄압 사건에 연좌되어 평민으로 폐해짐.
1050~11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영운(謝靈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사현(謝玄)의 손자로, 영가 태수(永嘉太守)를 지냈으나 파쟁(派爭)으로 인하여 유배 중에 처형됨. 자연을 노래한 산수시인(山水詩人)으로 높이 평가받음.
385~4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용재(謝用梓)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절강인(浙江人). 임진왜란 때 조선에 서일관(徐一貫) 등과 사신(使臣)으로 와서 경성(京城)의 왜적 진영에 들어가 행장(行長)을 타이르는 등 교섭 관계에 힘씀.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우감계록(師友鑑戒錄)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이 지은 글. 사우(師友) 관계의 귀감이 될 만한 조헌(趙憲)의 사적(事蹟)을 적은 글로, 저자의 《은봉전서(隱峯全書)》에 실려 있음.
1638 한국>조선후기 , 문헌>작품명
-
사우당(四友堂)
고려 말의 학자인 송은(松隱) 박익(朴翊)의 아들 사형제(四兄弟)를 일컫는 말. 우당(憂堂) 박융(朴融), 인당(忍堂) 박소(朴昭), 아당(啞堂) 박조(朴調), 졸당(拙堂) 박총(朴聰)을 이름.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김제안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김제안(金齊顔)의 저서. 사우(師友)의 행적을 적은 것으로, 전녹생(田祿生)의 《야은일고(壄隱逸稿)》에 일부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남효온
조선 전기의 문신인 남효온(南孝溫)이 스승 김종직(金宗直) 및 지기(知己) 김굉필(金宏弼) 등 50여 명의 언행(言行)ㆍ문장(文章) 등을 간략하게 기록한 책. 실본(實本)은 전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사우정집(四雨亭集)
조선 전기의 종친이며 시인인 이식(李湜)의 시문집. 2권 2책. 목판본. 초간본(初刊本)은 1500년(연산군 6)에 아들 이철(李轍)과 이식(李軾)이 집에 소장하고 있던 시고(詩稿)를 바탕으로 편차하여 간행함.
1500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사우추허록(師友推許錄)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송기수(宋麒壽)의 《추파집(秋坡集)》에 실려 있는 부록(附錄). 여러 책 가운데에서 송기수와 관계된 기사를 뽑아 모음.
1753 한국>조선후기 , 문헌>작품명
-
사원(沙苑)
중국 섬서성(陝西省) 대려(大荔) 남부에 있는 마을 이름. 서위(西魏)의 우문태(宇文泰)가 고관(高觀)을 대파하고 나무 한 그루를 심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사월(沙月)
경상남도 진주(晉州)에 있는 마을 이름. 조선 초기의 문신인 하연(河演)의 출생지.
경상도>진주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