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사유(史儒)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유격장군(遊擊將軍)으로 참전했다가 평양성(平壤城)에서 전사함.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그의 제문(祭文)이 남아 있음.
?~159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사유록(四遊錄)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인인 김시습(金時習)의 기행시집. 5권 1책. 〈유관서록(遊關西錄)〉ㆍ〈유관동록(遊關東錄)〉ㆍ〈유호남록(遊湖南錄)〉ㆍ〈유금오록(遊金鰲錄)〉으로 구성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사유반문집(謝幼槃文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인 사매(謝邁)의 시문집(詩文集). 1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사육신(死六臣)
조선 세조(世祖) 때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순사(殉死)한 여섯 신하. 생육신(生六臣)의 대칭(對稱)으로 쓰임.
1456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조직
-
사인(思印)
조선 전기의 승려.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그에게 보내는 시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사인정(四印亭)
전라도 함평(咸平) 월야면(月也面)에 있는 정자. 조선 전기에 정함도(鄭咸道)와 그의 아들 정유(鄭維)ㆍ정면(鄭綿)ㆍ정주(鄭紬) 4부자가 모두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된 것을 기념하여 인끈을 걸었던 데서 붙여진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유적>건물>누정
-
사일(謝逸)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인. 사매(謝邁)의 종형(從兄)으로, 강서시파(江西詩派)의 한 사람. 여희철(呂希哲)에게 수학하였고, 박학(博學)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나 황정견(黃庭堅)으로부터 칭탄을 받았으며, 많은 저술을 남김.
?~111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사자하(泗泚河)
충청남도 부여(扶餘)를 지나는 백마강의 이름.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사장(謝莊)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효무제(孝武帝) 때의 문신ㆍ시인. 효무제가 즉위할 때 도운 공으로 시중(侍中)에 제수됨. 사부(詞賦)에 뛰어났으며, 대표작으로는《월부(月賦)》가 있음.
421~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재집(思齋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정국(金正國)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초간본은 1591년(선조 24) 손자인 김요립(金堯立)이 영유 현감(永柔縣監)으로 있을 때 윤두수(尹斗壽)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591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영유 , 문헌>서명
-
사재척언(思齋摭言)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김정국(金正國)이 시화(詩話) 또는 명유(名儒)들의 일화(逸話)를 중심으로 평소 보고들은 바를 기록한 잡록집(雜錄集).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사정전(思政殿)
조선시대 정궁(正宮)인 경복궁(景福宮) 안에 있는 편전(便殿). 왕이 공식집무를 보던 편전이면서, 크고 작은 행사가 열렸던 상징적인 중심 건물.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되었으나 고종(高宗) 때 재건함.
139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궁궐
-
사정전훈의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資治通鑑綱目)
조선 세종(世宗) 때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토대로 윤회(尹淮)ㆍ노숙동(盧叔仝) 등이 편찬하고 세종이 친히 교정을 보아 만든 책.
14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사조(謝脁)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문신ㆍ시인. 선성 태수(宣城太守)를 지냈으며, 영명체(永明體)의 대표적인 작가로, 사영운(謝靈運)과 함께 대소사(大小謝)로 불리고, 사영운ㆍ사혜련(謝惠連)과 더불어 삼사(三謝)로 일컬어짐.
464~49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사조선록(使朝鮮錄)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공용경(龔用卿)의 조선(朝鮮) 사행록(使行錄). 3권. 1537년(중종 32) 황태자의 탄생 조서(詔書)를 반포하기 위해 조선에 사신으로 왔을 때의 사행(使行) 절차 및 거리 풍경, 교류 내용 등을 기록함.
1937 한국>근대 , 중국 , 문헌>서명
-
사조실록(四朝實錄)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구양현(歐陽玄)이 편찬한 사서(史書). 1333년 한림원 직학사(翰林院直學士)가 되어 편수한 《태정제실록(泰定帝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ㆍ《문종실록(文宗實錄)》ㆍ《영종실록(寧宗實錄)》의 통칭.
1333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사지(四知)
천지(天知)ㆍ신지(神知)ㆍ자지(子知)ㆍ아지(我知). 중국 후한(後漢)의 양진(楊震)이, 자신이 추천한 왕밀(王密)이 황금을 몰래 바치자, “하늘이 알고 귀신이 알고 자네가 알고 내가 안다.”고 하면서 물리친 데서 유래한 말로, 세상에는 비밀이 없음을 뜻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사진(謝榛)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인. 시가(詩歌)에 능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ㆍ서중행(徐中行)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495~157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사천(泗川)
경상남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한려수도(閑麗水道)의 중심 기항지이며, 서부경남(西部慶南)의 관문(關門)임.
경상도>사천 , 지명>행정지명
-
사천(謝遷)
중국 명(明) 효종(孝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병부 상서(兵部尙書) 겸 동각태학사(東閣太學士) 등을 역임하였으며, 도량 있는 정치를 펴서 어진 재상이라 칭송되었음.
1449~153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