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사천성(四川省)
중국 양자강(揚子江) 상류의 사천(四川) 분지와 티벳 고원(高原)의 동부에 위치한 지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근거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사천이씨(泗川李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국자진사(國子進士)로 송악 군수(松岳郡守)를 지낸 이식(李軾)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집단>성씨
-
사추(史鰌)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영공(靈公)이 간언(諫言)을 듣지 않자 시체가 되어서도 간하였다는 시간(屍諫)의 고사로 유명하며, 공자(孔子)로부터 직신(直臣)이라는 칭찬을 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사칠고증(四七攷證)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학자인 박주종(朴周鍾)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사칠논변(四七論辯)
조선 성리학(性理學)에서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간에 전개되었던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에 관한 논변. 이황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기대승의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 사이에서 시작된 논쟁으로, 1559년(명종 14)부터 8년에 걸쳐 전개됨.
1559 한국>조선전기 , 사상>이론>학설
-
사칠속편(四七續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기대승(奇大升)이 지은 책. 3권. 사단칠정(四端七情)의 논쟁을 정리한 책으로, 1629년(인조 7)에 《이기변(理氣辨)》으로 초간한 것을 1786년(종조 10)에 정조(正祖)의 명에 따라 이름을 바꾸어 중간함.
178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사탁(謝鐸)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 등을 지냈으며, 경술(經術)과 문장(文章)이 뛰어나 《이락연원속록(伊洛淵源續錄)》ㆍ《적성신지(赤城新志)》 등을 저술함.
1435~151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사포선(史褒善)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감찰어사(監察御使)ㆍ대리시경(大理寺卿)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가 창궐할 때 성을 쌓아 방비를 튼튼히 함.
1499~156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한당집(賜閑堂集)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인 신시행(申時行)의 시문집. 40권. 시부(詩賦)는 모두 6권이고, 문(文)과 잡저(雜著)는 모두 34권으로 되어 있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사한열전초(史漢列傳抄)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최립(崔岦)이 지은 책. 1책 4권. 목판본. 초학자(初學者)의 고문(古文) 공부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사기(史記)》와 《한서(漢書)》의 열전(列傳)에서 일부를 선정하여 구결(口訣)과 현토(懸吐)를 붙임.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사현(四玄)
조선 전기의 승려. 《치재유고(耻齋遺稿)》에 홍인우(洪仁祐)와의 문답이 실려 있음. 양주에 있는 회암사(檜岩寺)에서 수도 생활을 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사현(謝玄)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효무제(孝武帝) 때의 무신. 재상 사안(謝安)의 조카로, 정예 8천 군사를 이끌고 부견(苻堅)의 백만 대군을 비수(肥水)에서 격파하여 용맹을 떨침.
343~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사형(謝衡)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혜제(惠帝) 때의 문신. 사곤(謝鯤)의 아버지로, 유학(儒學)으로 이름이 났으며, 국자박사(國子博士)ㆍ태자소부(太子少傅)ㆍ산기상시(散騎常侍) 등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사혜련(謝惠連)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시인. 사영운(謝靈運)의 족제(族弟)로, 10세 때부터 시를 잘 지어 시재(詩才)로 인정받았으며, 사영운(謝靈運)ㆍ사조(謝脁)와 더불어 삼사(三謝)로 일컬어짐.
397~4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사호집(思湖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오장(吳長)의 시문집. 8권 4책. 현손 오중서(吳重瑞)와 외손 강후기(姜垕基) 등이 유문(遺文)을 모아 편집하였으며, 1781년(정조 5)에 6대손인 오정(吳珽)이 간행함.
178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사홍조(史弘肇)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한(後漢)의 무신. 대장(大將) 등을 지냈으며, 무(武)를 숭상하고 문(文)을 배척함.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삭^낙(朔^洛)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원우삼당(元祐三黨)에 속하는 삭당(朔黨)과 낙당(洛黨)을 함께 부르는 말. 낙당은 정이(程頤)를 영수로 삼고 삭당은 유지(劉摯) 등을 영수로 삼아 격렬한 정쟁(政爭)을 벌임.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삭^촉^낙(朔^蜀^洛)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수구파(守舊派)인 삭당(朔黨)ㆍ촉당(蜀黨)ㆍ낙당(洛黨)을 함께 부르는 말. 낙당은 정이(程頤), 촉당은 소식(蘇軾), 삭당은 유지(劉摯)를 영수로 삼아 치열한 정쟁(政爭)을 벌임. 원우삼당(元祐三黨)으로 불림.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삭녕(朔寧)
경기도 연천(漣川) 및 강원도 철원(鐵原) 일부 지역의 옛 고을 이름.
경기도>삭녕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