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삭당(朔黨)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원우삼당(元祐三黨)의 하나. 유지(劉摯)ㆍ양도(梁燾)ㆍ왕암수(王巖叟)ㆍ유안세(劉安世)를 당수로 삼고, 낙당(洛黨)ㆍ촉당(蜀黨)과 치열한 정쟁(政爭)을 벌임.
중국>송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삭주(朔州)
평안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해 있으며, 1018년(현종 9)에 영새(寧塞)에서 삭주(朔州)로 명칭이 변경됨.
평안도>삭주 , 지명>행정지명
-
산^록(産^祿)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황후인 여후(呂后)의 일족 여산(呂産)과 여록(呂祿)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산가서(山家序)
고려 말의 학자인 길재(吉再)가 지은 글. 벼슬하기 전인 젊은 시절에 지은 것으로, 벼슬에서 물러나 지은 〈후산가서(後山家序)〉와 함께 《야은집(冶隱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산간(山簡)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회제(懷帝) 때의 무신. 산도(山濤)의 아들로, 정남장군(征南將軍)이 되어 양양(襄陽)을 수비할 때 형주(荊州)의 호족인 습씨(習氏)의 고양지(高陽池)에서 늘 술을 마시고 만취하여 돌아오곤 하였다 함.
253~31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산거백영(山居百詠)
조선 전기의 학자 김시습(金時習)이 1468년(세조 14) 금오산(金鰲山)에 은거할 때 지은 시(詩). 옛사람의 시구(詩句) 중에서 산중 생활의 묘미가 있는 것만 모아서 지은 칠언절구(七言絶句) 형식의 시 100수(首)를 이름.
14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작품명
-
산구(山鳩)
멧비둘기. 울음소리를 음차(音借)하여 ‘탈고(脫袴)’로 일컬어지는데, 해진 바지를 벗어버리고 새 옷으로 갈아입으라는 의미라 함.
자연물>동물
-
산남집(山南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ㆍ학자인 김부인(金富仁)의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石印本). 1권에는 연보(年譜), 부(賦) 1편, 시(詩) 135수가, 2권에는 서(書) 6편이, 부록(附錄)으로는 만사(輓詞) 등 7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산당(山黨)
조선 인조(仁祖) 말에 청서(淸西)에서 갈린 서인(西人)의 한 분파. 김집(金集)ㆍ송준길(宋浚吉)ㆍ송시열(宋時列) 등이 연산(連山)ㆍ회덕(懷德)에 머물며 정계에 나가지 않아 산인(山人)이라고 부른 데서 붙인 이름.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조직
-
산당서객전(山堂書客傳)
조선 전기 학자 최충성(崔忠成)의 《산당집(山堂集)》에 실려 있는 전기(傳記). 최충성이 성종(成宗) 때 과거에 낙방한 후 지은 자전적(自傳的)인 글.
148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산당집(山堂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인 최충성(崔忠成)의 문집. 5권 2책. 목판본. 초간본(初刊本)은 1805년(순조 5)에 저자의 9대손인 최혁(崔爀)이 송환기(宋煥箕)의 서문(序文)을 받아 간행함.
180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산도(山濤)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출사(出仕)하여 이부 상서(吏部尙書)가 되었을 때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혜강(嵆康)과 각별한 우정을 나눔.
205~28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산리동(酸梨洞)
경기도 고양(高陽) 북부에 있던 마을 이름. 성녕대군(誠寧大君) 이종(李▼(示+重))의 묘소가 있음.
경기도>고양 , 지명>자연지명
-
산상왕(山上王)
고구려 제10대 왕. 재위 197~227. 신대왕(新大王)의 아들이자 고국천왕(故國川王)의 동생으로, 고국천왕의 비(妃) 우씨(于氏)에 의해 왕위에 오름. 한(漢) 나라 하요(夏瑤)의 투항을 받아들이고, 환도성(丸都城)으로 수도를 옮김.
?~227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산요원(山腰院)
경상북도 풍기(豊基) 서쪽 20리 지점에 있었던 역원(驛院).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관사
-
산운(山雲)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인종(仁宗) 때의 무신. 변방의 난을 진압하여 무공을 세우고, 도독첨사(都督僉事)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산음(山陰)
경상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단성(丹城), 서쪽으로는 함양(咸陽), 북쪽으로는 거창(居昌)과 접해 있음. 지리산(智異山)과 서계서원(西溪書院) 등이 있으며, 지금은 경상남도 산청(山淸)에 속함.
경상도>산음 , 지명>행정지명
-
산장도(山庄圖)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인 이공린(李公麟)의 그림. 당시 '세상의 보물'로 불렸으며, 그림의 묘사에 백묘법(白描法)이 고도로 발휘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산천서원(山泉書院)
조선 정조(正祖) 때 경상도 영천(榮川)에 건립한 서원. 송석충(宋碩忠)ㆍ장수희(張壽禧)ㆍ오운(吳澐)ㆍ박회무(朴檜茂)ㆍ박종무(朴敾茂) 등을 배향함.
17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산해경(山海經)
중국 하(夏) 나라 우왕(禹王) 또는 백익(伯益)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최고(最古)의 지리서(地理書). 고대 중국의 자연관(自然觀)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임.
고대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