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산해관(山海關)
중국 하북성(河北省) 진황도(秦皇島)에 있는 관문(關門). 만리장성(萬里長城)이 시작되는 곳으로, 교통ㆍ군사상의 요해지(要害地). 동쪽으로는 바다에 임하고, 북쪽으로는 토이(兎耳)ㆍ복주산(覆舟山)에 접하는 만리장성의 동쪽 끝.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산해정(山海亭)
경상도 김해(金海) 대동면(大東面)에 있는 누정(樓亭). 조선 중종(中宗) 때 조식(曺植)이 건립하여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강학하던 곳.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유적>건물>누정
-
살례탑(撒禮塔)
중국 원(元) 나라의 장군. 1231년(고종 18) 몽고의 1차 침입과 1232년(고종 19) 2차 침입 때 활약하였으며, 처인성(處仁城 : 龍仁)에서 승려 김윤후(金允侯)에게 피살됨.
?~1232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삼^사(參^賜)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증삼(曾參)과 위(衛) 나라의 학자인 단목사(端木賜)를 함께 부르는 말. 모두 공자(孔子)의 제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삼^상(參^商)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서남방 신(申)의 위치에 있는 삼성(參星)과 동방 묘(卯)의 위치에 있는 상성(商星)을 함께 부르는 말. 친한 사람과 이별하여 만나지 못함을 비유함.
사상>술어>관용어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삼가집(三可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수량(朴遂良)의 시문집. 불분권 1책. 목판본. 1794년(정조 18) 후손 박천희(朴天希)ㆍ박시혁(朴時赫) 등이 편집, 간행함. 유언호(兪彦鎬)ㆍ박천희(朴天希)ㆍ박시혁(朴時赫)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9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삼각산(三角山)
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北漢山)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 만경대(萬景臺)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
경기도>고양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삼강록(三綱錄)
조선 정조(正祖) 때 각도에서 충(忠)ㆍ효(孝)ㆍ열(烈)의 삼강(三綱)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포상한 사실을 수록한 책. 18책. 필사본. 숙종(肅宗) 연간에서부터 1783년(정조 7)까지의 인물을 다루고 있으며, 뒤에 《삼강속록(三綱續錄)》ㆍ《속수삼강록(續修三綱錄)》 등의 이름으로 속간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삼강서원(三綱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예천(醴泉)에 건립한 서원. 정몽주(鄭夢周)ㆍ이황(李滉)ㆍ유성룡(柳成龍)ㆍ이유(李維) 등을 배향함. 1869년(고종 6)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됨.
164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조선 세종(世宗) 때 설순(薛循) 등이 왕명을 받아 삼강(三綱)의 모범이 될 만한 사람 105명의 행적을 모아 간행한 책. 조선시대의 도덕서(道德書).
14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삼계서원(三溪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1588년(선조 21) 창건되어 권벌(權橃)의 위패를 봉안했으며, 1660년(현종 1) 사액됨. 현재 경상북도 봉화(奉化)에 속함.
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삼고초려(三顧草廬)
중국 후한(後漢) 말엽, 유비(劉備)가 제갈량(諸葛亮)을 군사(軍師)로 초빙하기 위해 그의 초가집을 세 번이나 찾아간 데서 나온 고사성어. 사람을 맞이함에 진심으로 예를 다함을 뜻함. 《삼국지(三國志)》 〈촉지(蜀志) 제갈량전(諸葛亮專)〉에 나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삼교(三敎)
유교(儒敎)ㆍ도교(道敎)ㆍ불교(佛敎)를 말함.
고대 , 사상>이론>교리
-
삼국(三國)
기원전 37년부터 676년 신라(新羅)가 통일하기 이전까지 있었던 고구려(高句麗)ㆍ백제(百濟)ㆍ신라를 말함.
B.C.37~676 한국>백제ㅣ한국>신라ㅣ한국>고구려 , 시간>국명
-
삼국사기(三國史記)
고려 인종(仁宗) 때 김부식(金富軾)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기전체(紀傳體)의 역사서. 우리나라에 현전(現傳)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 총 50권.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됨.
1145 한국>고려전기 , 문헌>서명
-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조선 성종(成宗) 때 노사신(盧思愼)ㆍ서거정(徐居正) 등이 편년체(編年體)로 편찬한 단군조선(檀君朝鮮)에서 삼국(三國)까지의 역사서. 총 14권. 신라 중심의 삼국사관을 극복했고, 조선시대 삼국사 서술의 기본틀이 되었으며, 《동국통감(東國通鑑)》을 편찬할 때 고대사의 대본으로 이용됨.
147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승려 일연(一然)이 삼국의 유사(遺事)를 모아서 편찬한 역사서. 5권. 목판본. 정사(正史)인 《삼국사기(三國史記)》와 함께 현존하는 한국 고대 사적(史籍)의 쌍벽을 이루는 야사(野史).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삼대목(三代目)
통일신라 진성여왕(眞聖女王) 때 각간(角干) 위홍(魏弘)과 대구화상(大矩和尙)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향가집. 문헌상에 기록된 한국 최초의 가집(歌集)으로, 현전하지 않음. 신라의 향가를 상대(上代)ㆍ중대(中代)ㆍ하대(下代)로 나누어 정리한 것으로 보임.
888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삼도부(三都賦)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인 좌사(左思)가 지은 부(賦). 촉(蜀)ㆍ오(吳)ㆍ위(魏)의 수도인 성도(成都)ㆍ건업(建業)ㆍ업(鄴)의 풍물에 대해 읊음. 낙양(洛陽)에서 10년 동안 구상하여 완성하였으며, 당시 장화(張華)로부터 격찬을 받아 ‘낙양지가귀(洛陽紙價貴)’라는 말이 생김.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