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삼등(三登)
평안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으로 성천부(成川府)와 경계하였고, 명승지로 황학루(黃鶴樓) 등이 있음.
평안도>삼등 , 지명>행정지명
-
삼락(三樂)
세 가지 즐거움으로, 사람으로 태어난 것, 남자로 태어난 것, 오래 사는 것을 말함. 중국 춘추전국시대 영계기(榮啓期)가 공자(孔子)의 물음에 대답하였다는 고사로, 《열자(列子)》 〈천서(天瑞)〉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삼락정(三樂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인 이현(李俔)이 서호(西湖)에 세운 정자. 관직이 2품에 이른 것, 부부가 해로한 것, 자손이 번성한 것을 삼락(三樂)이라 하여 이름함.
한국>조선전기 , 유적>건물>누정
-
삼략(三略)
중국 진(秦) 나라 말의 은사(隱士)ㆍ병법가(兵法家)인 황석공(黃石公)이 지었다는 병법서. 무경칠서(武經七書)의 하나로, 위서(僞書)라는 설이 유력함. 3편.
중국>진 , 중국 , 문헌>서명
-
삼례고이(三禮考異)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학자인 웅화(熊禾)가 오봉서원(鰲峰書院)에서 쓴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삼로(三老)
중국 주(周) 나라 때 늙어서 벼슬에서 물러난 신하를 임금이 부형(父兄)의 예(禮)로 대접하던 관직 제도. 정직(正直)ㆍ강극(剛克)ㆍ유극(柔克)인 삼덕(三德)을 아는 장로(長老)를 두는 제도로, 일인설과 삼인설이 있음.
중국>주 , 중국 , 법제>관직
-
삼로오경(三老五更)
중국 주(周) 나라 때 설치한 관직 제도. 천자가 나이가 많고 덕 있는 원로를 삼로(三老)와 오경(五更)으로 칭하여 부형(父兄)과 같이 예우함으로써 효제(孝悌)의 모범을 보임. 삼(三)은 삼신(三辰)을, 오(五)는 오성(五星)을 상징함.
중국>주 , 중국 , 법제>관직
-
삼류하(三流河)
중국 요녕성(遼寧省)의 낭자산(狼子山) 30리 지점에 있는 강으로, 동북(東北)으로 흘러 태자하(太子河)로 흘러 들어감. 책문(柵門)에서 심양(瀋陽)까지 가는 사행(使行) 길에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삼마치(三馬峙)
강원도 홍천(洪川) 삼마치리(三馬峙里)에 있는 고개 이름.
강원도>홍천 , 지명>자연지명
-
삼막사(三幕寺)
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경기도 금천(金川) 삼성산(三聖山)에 건립한 사찰. 677년(문무왕 7) 원효(元曉)ㆍ의상(義湘)ㆍ윤필(潤筆) 등 세 대사(大師)가 관악산(冠岳山)에 들어와서 막(幕)을 치고 수도한 것에서 유래됨. 원효가 창건하고, 도선(道詵)이 중건함.
67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금천 , 유적>건물>사찰
-
삼묘(三苗)
중국 고대 신화에 나오는 인물. 순 임금 때 공공(共工)ㆍ환도(驩兜)ㆍ곤(鯀)과 함께 네 사람의 악인(惡人)으로 불림. 순 임금이 즉위하여 삼위(三危)로 유배시킴.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삼별초(三別抄)
고려 무신정권(武臣政權) 때의 특수 군대. 최씨 정권(崔氏政權)의 사병(私兵)으로, 좌별초(左別抄)ㆍ우별초(右別抄)ㆍ신의군(神義軍)의 3개 별초군(別抄軍)을 말하며, 경찰ㆍ전투 임무를 수행함. 무신정권의 전위(前衛)로서 몽고와의 항전을 전개함.
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삼보(三輔)
중국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에 위치한 도시 이름. 한(漢) 나라의 수도(首都)인 장안(長安)을 중심으로 인접지를 경조(京兆)ㆍ풍익(馮翊)ㆍ부풍(扶風)으로 나눈 세 구역을 말함. 그 후 수도의 인접지를 뜻하게 됨.
중국>전한 ,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삼봉서원(三峯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상도 영천(榮川)에 건립한 서원. 김이음(金爾音)ㆍ이해(李瀣)ㆍ김개국(金盖國)ㆍ김륭(金隆) 등을 배향함.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뒤 복원되지 못함.
165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삼봉집(三峯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이며 조선의 개국공신인 정도전(鄭道傳)의 시문집. 1397년(태조 6) 아들에 의해 2권으로 초간되고, 그 뒤 중간ㆍ증보됨. 1791년(정조 15)의 간행본이 14권 7책의 목판본으로 현전함.
139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삼부연(三釜淵)
강원도 철원(鐵原)에 있는 연못. 그 위로 높이가 20미터인 폭포수가 세 번 꺾여 세 군데의 가마솥 같이 생긴 못에 떨어진다고 하여 삼부연(三釜淵)이란 이름이 붙음. 철원 팔경(鐵原八景)에 속함.
강원도>철원 , 지명>자연지명
-
삼사랑(三四郞)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신. 가등청정(加藤淸正)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 참전하여 명(明) 나라 사신과 협상할 때 보좌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삼사이행(三思而行)
깊이 생각한 뒤에 행동으로 옮긴다는 뜻의 고사성어.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대부인 계손행보(季孫行父)가 세 번 생각하고 행동으로 옮기자, 공자가 "두 번이면 족하다"고 말하여 너무 깊이 생각하는 것을 경계시킴. 《논어(論語)》〈공야장(公冶長)〉 편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삼사충고(三事忠告)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장양호(張養浩)가 지은 관잠서(官箴書). 4권. 저자가 벼슬을 하면서 터득한 경험을 적은 것으로, 〈목민충고(牧民忠告)〉 2권, 〈풍헌충고(風憲忠告)〉 1권, 〈묘당충고(廟堂忠告)〉 1권으로 구성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삼산재집(三山齋集)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인 김이안(金履安)의 시문집. 12권 6책. 활자본. 아들 김봉순(金鳳淳)과 문인들이 유고를 수집ㆍ편찬하고, 1854년경 종손 김수근(金洙根)이 간행함. 의례 문제에 대한 기록이 많이 보임.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