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삼성(參星)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로, 서남방 신(申)의 위치에 있는 세 개의 큰 별. 옛날 고신씨(高辛氏)의 두 아들 알백(閼伯)과 실침(實沈)이 날마다 싸우므로, 임금이 알백을 상구(商丘)에 옮겨 이 별을 주장하게 함.
자연물>천체
-
삼신산(三神山)
중국 전설에 나오는 상상의 세 신산(神山). 진(秦) 시황제(始皇帝)가 불사약(不死藥)을 구하려고 동남동녀(童男童女)를 보냈으나 행방불명되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삼여(三與)
고려 후기의 승려. 혼수(混脩)의 문도. 조계종(曹溪宗)의 승려로 이색(李穡)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삼연집(三淵集)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인 김창흡(金昌翕)의 시문집. 36권 18책. 목판본. 초간본은 1732년(영조 8) 문인 유척기(兪拓基)가 간행함. 필사본의 습유(拾遺) 32권이 따로 있음.
17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삼우정유고(三友亭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인 박경신(朴慶新)의 저서. 임진왜란과 관련하여 정구(鄭逑)ㆍ곽재우(郭再祐)에게 보낸 서찰 등이 있음. 《십사의사록(十四義士錄)》권1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삼운주조고(三云籌組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인 왕사기(王士琦)의 저서.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삼원기사(三寃記事)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이 쓴 전기(傳記). 1책. 필사본.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하다가 순국한 김덕령(金德齡)ㆍ김응회(金應會)ㆍ김대인(金大仁)의 억울함을 신원(伸寃)하기 위하여 쓴 전기로, 《은봉전서(隱峰全書)》에도 실려 있음.
161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삼원명경수(三元明鏡數)
조선 전기의 문신 정희량(鄭希良)이 상(上)ㆍ중(中)ㆍ하(下) 삼원(三元)의 사람 운수를 헤아려 만들었다는 점서(占書). 《허암유집(虛庵遺集)》의 부록(附錄)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삼은각(三隱閣)
조선 태조(太祖) 때 충청도 공주(公州) 동학사(東鶴寺)에 건립한 제각. 처음에는 단을 쌓아 제를 지내다가 후에 건물을 세움.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목은(牧隱) 이색(李穡), 야은(冶隱) 길재(吉再)를 배향함.
140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유적>건물>사당
-
삼일당시집(三一堂詩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신일(辛馹)의 시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삼전이동설(三傳異同說)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ㆍ학자인 마융(馬融)의 저서. 춘추삼전(春秋三傳)을 분석하여 내용의 차이점을 해설한 책으로 추정되나, 일실(佚失)되어 현존하지 않음.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삼준(三俊)
조선 전기의 승려. 송운(松雲)을 따라 일본에 갔다가 돌아와서 오대산으로 들어갈 때 이산해(李山海)가 지어준 시가 《아계유고(鵝溪遺稿)》에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종교인>승려
-
삼차하(三叉河)
중국 요동(遼東)의 봉성(鳳城) 6리 지점에 있는 강. 요하(遼河)와 혼하(渾河), 태자하(太子河)가 합류한 곳으로, 조선시대 북경(北京)으로 가는 사행(使行) 길에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삼척(三陟)
강원도 동부 해안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삼척 , 지명>행정지명
-
삼탄집(三灘集)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이승소(李承召)의 시문집. 14권 5책. 목판본. 아들 이희(李熙)와 외손자 이수동(李壽童)이 1515년(중종 10) 함경도 관찰사 윤금손(尹金孫)의 도움을 받아 함흥(咸興)에서 간행함.
1515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함흥 , 문헌>서명
-
삼통역보(三統曆譜)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흠(劉歆)이 쓴 천문 관계 저서.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삼포왜란(三浦倭亂)
조선 중종(中宗) 때 삼포(三浦)에서 일어난 일본 거류민들의 폭동사건. 황형(黃衡)ㆍ유담년(柳聃年)ㆍ김수동(金壽童) 등이 난을 진압하였고, 삼포는 폐쇄되어 조선과 일본간의 통교가 중단됨.
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웅천ㅣ경상도>울산ㅣ경상도>동래 , 사건>기타사건
-
삼학사(三學士)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청(淸) 나라와의 결사 항전을 주장한 세 학사. 홍익한(洪翼漢)ㆍ윤집(尹集)ㆍ오달제(吳達濟)를 일컫는 말로, 이들은 끝까지 화의(和議)를 반대하다가 1637년(인조 15) 중국 심양(瀋陽)에 잡혀가 처형당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삼한(三韓)
삼국시대 이전 우리나라 중남부에 자리잡고 있던 정치집단에 대한 통칭. 마한(馬韓)ㆍ진한(辰韓)ㆍ변한(弁韓)을 이름.
고대 , 시간>기타시간
-
삼한공신(三韓功臣)
고려 태조(太祖)가 후삼국 통일에 협력한 당대의 세력가들에게 내린 공신호(功臣號). 특전과 경제적 기반이 제공되고, 독자적인 세력가로서 지위를 보장받아, 고려 왕실을 구심점으로 하는 새로운 정치 지배세력이 됨.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