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삼환(三桓)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정치의 중심세력을 형성한, 환공(桓公)의 자손인 맹손씨(孟孫氏)ㆍ숙손씨(叔孫氏)ㆍ계손씨(季孫氏)의 삼가(三家)를 가리키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삼황(三皇)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세 명의 제왕. 문헌에 따라서 천황씨(天皇氏)ㆍ지황씨(地皇氏)ㆍ인황씨(人皇氏)로 보는 설과, 수인씨(燧人氏)ㆍ복희씨(伏羲氏)ㆍ신농씨(神農氏)로 보는 설이 있으며, 복희(伏羲)ㆍ신농(神農)ㆍ헌원(軒轅)으로 보는 설 등 여러 학설이 있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삼황오제(三皇五帝)
중국 고대 전설상에 등장하는 8명의 제왕. 삼황(三皇)과 오제(五帝)를 이르는 말로, 그 구체적인 인물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이 있음. 이로부터 중국 역사가 시작된 것으로 보며, 평화시대로 알려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상^복(桑^濮)
망국의 음조가 나온 상간(桑間)과 복수(濮水)를 함께 부르는 말. 상간은 복수 근처에 있는 지명이며, 후에 망국(亡國)의 음악이 나온 곳으로 일컬어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상^연(祥^練)
대상(大祥)에 지내는 제사인 상제(祥祭)와 소상(小祥)을 한 달 앞당겨 열한 달 만에 지내는 연제(練祭)를 함께 부르는 말.
법제>의례>기타의례
-
상^우(商^羽)
악곡(樂曲)에 쓰이는 악조(樂調)의 명칭 가운데 상조(商調)와 우조(羽調)를 함께 부르는 말. 상(商) 음을 위주로 하는 슬프고 처량한 소리와 우(羽) 음을 위주로 하는 맑은 소리를 말함.
사상>술어>관용어
-
상^위(湘^渭)
중국 남녕(南寧)에서 발원하여 호남성(湖南省) 소수(瀟水)와 합류하여 동정호(洞庭湖)로 들어가는 상수(湘水)와, 감숙성(甘肅省) 위원현(渭源縣)의 서북 조서산(鳥鼠山)에서 발원하여 섬서성(陝西省)을 거쳐 황하(黃河)로 흘러 들어가는 위수(渭水)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상가보정비(桑哥輔政碑)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염복(閻復)이 세조 때의 간신(奸臣)인 상가(桑哥)에 대해 지은 비문.
중국>원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상가촌(上家村)
중국 북경(北京)으로 가는 길에 있는 마을 이름. 서유문(徐有聞)의 《무오연행록(戊午燕行錄)》에 이곳에 대한 언급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상간(桑間)
중국 하남성(河南省) 복수(濮水) 근처에 있는 고을 이름. 옛날 위(衛) 나라의 땅으로, 음풍(淫風)이 유행한 곳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상공(殤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재위 B.C.720~B.C.710. 대부 화독(華督)에게 시해됨.
?~B.C.71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상공(殤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재위 B.C.558~B.C.547. 영희(甯喜)에게 시해됨.
?~B.C.54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상관걸(上官桀)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소제(昭帝) 때의 무신ㆍ정치가. 좌장군(左將軍)ㆍ상서직(尙書職)을 지냄. 개장공주(蓋長公主)ㆍ상홍양(桑弘羊)과 함께 곽광(霍光)과 소제를 제거하려는 모반을 꾸미다 실패하여 처형당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상국진(尙國珍)
고려 전기의 호장(戶長). 중국 당(唐) 나라 상가고(尙可孤)의 후예로 전하며, 목천상씨(木川尙氏)의 시조로, 고려 초에 목천 호장(木川戶長)을 지냄. 고려 개국 초기 후백제의 부흥을 꾀하며 목천 상왕산(尙王山)에서 군을 일으켰으나 고려군에게 참패하고 패사함.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관인>아전
-
상군서(商君書)
중국 전국시대 말기 위(衛) 나라 공손앙(公孫鞅)의 저서로 전해지는 이론서. 후대에 법가(法家)가 지었다는 설도 있음. 상앙변법(商鞅變法) 이론과 그 구체적인 시책이 기재되어 있음. 한대(漢代)에는 29편이 있었으나 현재 24편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상균(商均)
중국 고대 제왕(帝王)인 순(舜) 임금의 아들. 요(堯) 임금의 아들인 단주(丹朱)와 함께 나쁜 품성을 가진 인물로 유명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상노(商輅)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학자. 절강(浙江) 순안(淳安) 출신으로,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냄. 성화(成化) 연간에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을 편찬함.
1414~148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상득용(尙得容)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목천(木川). 장단(長湍) 출신. 영의정 상진(尙震)의 후손이며, 상동기(尙東耆)의 아들로, 화량진 첨사(花梁鎭僉使) 등을 지냄. 병서와 경사(經史)에 밝고, 천문ㆍ주수(籌數)에 능하였으며, 저서로 《성루합편(星漏合編)》등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장단 , 인명>관인>무신
-
상례고증(喪禮考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성일(金誠一)이 지은 상례 관계의 저서. 《두씨통전(杜氏通典)》ㆍ《구씨의절(丘氏儀節)》ㆍ《향교예집(鄕校禮輯)》등을 참고하여 《주자가례(朱子家禮)》에 기술된 상례의 근거에 대한 미비점을 보충함.
158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상례비요(喪禮備要)
조선 중기의 학자인 신의경(申義慶)이 지은 상례(喪禮) 관계의 초보적인 지침서. 2권 1책. 목판본. 1620년(광해군 12)경에 처음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며, 같은 해 김장생(金長生)이 증보하여 간행하고, 1648년(인조 26) 김집(金集)이 다시 교정하여 간행함.
162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