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례고증(喪禮考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성일(金誠一)이 지은 상례 관계의 저서. 《두씨통전(杜氏通典)》ㆍ《구씨의절(丘氏儀節)》ㆍ《향교예집(鄕校禮輯)》등을 참고하여 《주자가례(朱子家禮)》에 기술된 상례의 근거에 대한 미비점을 보충함.
158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상례비요(喪禮備要)
조선 중기의 학자인 신의경(申義慶)이 지은 상례(喪禮) 관계의 초보적인 지침서. 2권 1책. 목판본. 1620년(광해군 12)경에 처음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며, 같은 해 김장생(金長生)이 증보하여 간행하고, 1648년(인조 26) 김집(金集)이 다시 교정하여 간행함.
162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상린(桑麟)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고려(高麗) 우왕(禑王) 때에 사신으로 와서 중국의 유민(流民)들을 찾아 돌아갔으며, 이때 지어준 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ㆍ권근(權近)ㆍ정총(鄭摠) 등의 송별시가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방검(尙方劍)
임금의 칼을 일컫는 말. 원래 중국 상방서(尙方署)에서 제작한 황제 전용 보검(寶劍)으로, 황제가 전권(全權)을 맡긴다는 표시로 대신(大臣)에게 하사함.
중국>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상보(尙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상진(尙震)의 아버지로, 찰방(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관인>문신
-
상붕남(尙鵬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범허정(泛虛亭) 상진(尙震)의 아들로, 강계 부사(江界府使)를 지낸 이제신(李濟臣)의 장인.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열중하였지만 32세의 나이로 죽음. 시서(詩書)에 능했음.
1511~154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관인>문신
-
상산(商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상현(商縣) 동쪽에 있는 산. 상산사호(商山四皓)가 진(秦) 나라 말기 세상의 어지러움을 피하여 숨은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상산김씨(商山金氏)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후손으로 고려 때 보윤(甫尹)을 지낸 김수(金需)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상주 , 인명>집단>성씨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인 육구연(陸九淵)의 시문집. 36권 16책. 목판본. 1205년 아들 육지지(陸持之)가 자료를 수집하여 찬하였고, 1212년 원섭(袁燮)이 간행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중간(重刊)됨.
121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상서도성(尙書都省)
고려의 중앙 행정기구인 상서성(尙書省)을 구성하는 기구로, 정무 집행기관인 상서육부(尙書六部)의 상급 관부. 995년(성종 14) 어사도성(御事都省)을 개칭한 것으로, 국가행사의 주관, 공문의 발송 등의 기능을 함.
995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상서성(尙書省)
고려시대 삼성(三省)의 하나로, 행정의 실무를 담당한 집행기구. 2품 이상으로 구성된 상서도성(尙書都省)과 3품 이하로 조직된 상서육부(尙書六部)로 구성됨.
995~1275, 1356~1362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법제>관청
-
상서육부(尙書六部)
고려의 중앙 행정기구인 상서성(尙書省)을 구성하는 기구로, 상서도성(尙書都省)의 하급 관부. 995년 어사육관(御事六官)을 개칭한 것으로, 이부(吏部)ㆍ병부(兵部)ㆍ호부(戶部)ㆍ형부(刑部)ㆍ예부(禮部)ㆍ공부(工部)를 두어, 정무를 집행하는 기능을 함.
995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상서주(尙書注)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ㆍ문인인 조맹부(趙孟頫)의 저서.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상서주소(尙書註疏)
중국 남송(南宋) 때 간행한 《상서(尙書)》의 주석서. 20권. 십삼경주소(十三經註疏)의 하나로, 전한(前漢) 공안국(孔安國)의 전(傳)을 주(註)로 삼고, 당(唐) 나라 공영달(孔穎達)의 《상서정의(尙書正義)》를 소(疏)로 삼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상서집전찬소(尙書集傳纂疏)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진력(陳櫟)의 저서.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
고려 후기의 문신인 전녹생(田祿生)이 중국에서 구입한 《고문진보(古文眞寶)》에 산증(刪增)을 가하여 만든 것을 바탕으로, 조선 문종(文宗) 때 경오자(庚午字)로 간행한 책.
1452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상성(商星)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로, 동방 묘(卯)의 위치에 있는 별. 옛날 고신씨(高辛氏)의 두 아들 알백(閼伯)과 실침(實沈)이 날마다 싸우므로, 임금이 실침을 대하(大夏)에 옮겨 이 별을 주장하게 함.
자연물>천체
-
상수(向秀)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산기상시(算騎常侍) 등을 지냄. 《장자주(莊子注)》를 편찬하였고, 사(辭)와 부(賦)에 뛰어났으며, 혜강(嵆康)과 논한 〈난양생론(難養生論)〉이 《혜강집(嵆康集)》에 수록되어 있음.
230~28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상수(湘水)
중국 남령(南寧)에서 발원하여 북으로 흘러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에 이르는 강. 요(堯) 임금의 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함께 순(舜) 임금에게 시집갔다가 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자 상수에 빠져 죽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