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심병광(喪心病狂)
이성을 잃고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을 뜻하는 고사성어. 중국 송(宋) 나라 때 범여규(范如圭)가 남침해온 금(金) 나라에 투항할 것을 주장한 진회(秦檜)를 비난하며 쓴 글에 나온 말로, 《송사(宋史)》〈범여규전(范如圭傳)〉에 나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상오(向浯)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호안국(胡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주희(朱熹)와 교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상우당집(尙友堂集)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허종(許琮)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상원사(上院寺)
강원도 평창(平昌) 진부면(珍富面)의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성덕왕(聖德王) 때 창건하였으며, 조선 예종(睿宗) 때 세조(世祖)의 원찰(願刹)이 됨.
705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평창 , 유적>건물>사찰
-
상유(桑柔)
고대 중국의 시가를 모아 엮은 유교 경전인 《시경(詩經)》〈대아(大雅)〉 〈탕지십(蕩之什)〉의 한 편명(篇名). 예백(芮伯)이 주(周) 여왕(厲王)의 실정을 비난한 시.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편명
-
상자(殤子)
20세 이전에 죽는 단명자(短命者)를 말함. 19세~16세 사이에 죽는 것을 장상(長殤), 15세~12세 사이에 죽는 것을 중상(中殤), 11세~8세 사이에 죽는 것을 하상(下殤)이라고 함.
사상>술어>관용어
-
상장(向長)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은자.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노자(老子)》와 《역경(易經)》에 정통하였고, 늙어서는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오악(五嶽)의 명산을 두루 유람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상제(殤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5대 황제. 재위 105~106. 화제(和帝)가 죽자 태어난 지 백 일 만에 황제가 되었으나 두 살 때 죽음.
105~10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상제(祥祭)
상례(喪禮)의 일종으로, 사망한 날로부터 만 2년이 되는 두 번째 기일(忌日)인 대상(大祥)에 지내는 제사.
법제>의례>가례
-
상제요록(喪祭要錄)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석(洪錫)이 지은 상례와 제례 관계의 계몽서. 2권 1책. 인본(印本). 1891년(고종 28)에 완성되었으며, 1933년에 간행됨.
1933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상조(商調)
악곡(樂曲)에 쓰이는 악조(樂調)의 명칭 가운데 하나. 오음(五音) 가운데 하나인 상(商)음을 위주로 하는 소리로, 슬프고 처량하며 애원하는 듯한 소리를 뜻함.
기타>가무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주(尙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명종 때 과거에 입격하고 네 곳의 명산(名山)에서 주지(住持)를 지냈으며, 양사언(楊士彦)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상주주씨(尙州周氏)
통일신라 원성왕(元聖王) 때 당(唐) 나라의 사신으로 우리나라에 왔다가 귀화한 주이(周頤)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상주 , 인명>집단>성씨
-
상죽(湘竹)
상수(湘水)의 대나무로,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뜻함.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었을 때 두 비(妃)인 아황과 여영이 상수에서 흘린 눈물이 대줄기를 얼룩지게 하였다 해서 남편을 따라 죽은 두 비의 절개를 상징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상진(尙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오랫동안 왕을 보좌한 명상(名相)으로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음.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상채어록(上蔡語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양좌(謝良佐)의 언행을 수록한 저서. 3권 1책.
1522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상촌집(象村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흠(申欽)의 시문집. 63권 22책. 활자본. 1629년(인조 7) 아들 신익성(申翊聖)이 간행하고, 1636년에 중간함. 권두에 이정구(李廷龜)ㆍ장유(張維)ㆍ김상헌(金尙憲)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최명길(崔鳴吉)ㆍ이민구(李敏求)의 발문이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상춘곡(賞春曲)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극인(丁克仁)이 지은 가사(歌辭). 성종 연간에 전라도 태인(泰仁)에 은거하면서 그곳의 봄경치를 읊은 가사로, 한국 문학사상 최초의 가사로 평가되기도 함. 《불우헌집(不憂軒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문헌>작품명
-
상통례(喪通禮)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간(黃榦)ㆍ양복(楊復)이 지은 《의례경전통해속(儀禮經傳通解續)》의 편명.
중국>송 , 중국 , 문헌>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