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퇴(尙魋)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공자(孔子)가 송 나라를 지나갈 때 해치려 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상평통보(常平通寶)
조선 인조(仁祖) 때 주조되고, 숙종(肅宗) 때 법화(法貨)로 채택되어 유통된 화폐. 1633년(인조 11) 처음으로 주조, 유통되다가 중단된 뒤, 1678년(숙종 4) 다시 주조하여 조선 말기 현대식 화폐가 나올 때까지 통용됨.
163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물품>생활용품>화폐
-
상학경(相鶴經)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 때의 신선인 부구공(浮丘公)이 지은 선술(仙術)에 관한 책. 왕자 진(王子晉)과 학을 타고 놀면서 그에게 가르쳤다는 책. 1권.
중국>주 , 중국 , 문헌>서명
-
상현서원(象賢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충청도 보은(報恩)에 건립한 서원. 1555년(명종 10) 성제원(成悌元)이 충암(沖庵) 김정(金淨)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했으며, 1610년(광해군 2) 사액(賜額)됨. 성운(成運)ㆍ송시열(宋時烈)ㆍ조헌(趙憲) 등을 추배함.
155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유적>건물>서원,향교
-
상홍양(桑弘羊)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 평준법(平準法) 등을 만들어 국가의 재정수입을 증가시켰으나, 곽광(霍光)과 반목이 격화되자 상관걸(上官桀) 등과 함께 모반을 꾀하다가 처형됨.
B.C.152~B.C.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흥제(祥興帝)
중국 송(宋) 나라의 마지막 황제. 재위 1278~1279. 도종(度宗)의 막내아들로, 형 단종(端宗)이 죽자 즉위했으나 원(元) 나라 군대에 쫓기다가 바다에 빠져 죽었으며, 이에 송은 멸망함.
?~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색암유고(嗇庵遺稿)
조선 전기의 문인인 이세옥(李世玉)이 지은 책.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이자(李耔)의 행적이 수록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생^진(生^進)
조선시대 과거(科擧) 시험 중의 하나인 생원시(生員試)와 진사시(進士試)를 함께 부르는 말. 생원시는 유교 경전에 관한 지식을, 진사시는 문예 창작의 재능을 시험하였고, 초시(初試)와 복시(覆試)로 시행됨.
한국>조선시대 , 법제>기타법제
-
생부(笙賦)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서화가인 왕이(王廙)가 지은 부(賦). 《예문유취(藝文類聚)》에 그 일부가 인용되어 있음.
중국 , 문헌>작품명
-
생원시(生員試)
조선시대의 과거(科擧) 시험 중의 하나. 오경의(五經義)와 사서의(四書疑)의 제목으로 유교 경전에 관한 지식을 시험하며, 생원시와 진사시(進士試)를 합쳐 소과(小科)라고 불림.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생육신(生六臣)
조선시대 단종(端宗)이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절의(節義)를 지킨 여섯 신하. 사육신(死六臣)의 대칭(對稱)으로 쓰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조직
-
서^백^학(西^栢^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이황(李滉)의 고제자인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ㆍ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ㆍ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의성ㅣ경상도>안동 , 사상>술어>관용어
-
서^예(書^禮)
유가(儒家)의 오경(五經)에 속하는 책인 《서경(書經)》과 《예기(禮記)》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서간(徐幹)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 박학하고 글재주가 뛰어났으나 벼슬하지 않음. 건안칠자(建安七子) 가운데 한 명. 《중론(中論)》ㆍ〈귤부(橘賦)〉 등의 작품이 있음.
171~218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서거광(徐居廣)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邱). 안주 목사(安州牧使)를 지낸 서미성(徐彌性)의 아들이며, 문충공(文忠公) 서거정(徐居正)의 형. 언양 현감(彦陽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서견(徐甄)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안향(安珦)의 문인(門人)으로, 공양왕(恭讓王) 때 사헌장령(司憲掌令)을 지냈으나, 조선 개국 후에는 금천(衿川)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서경덕(徐敬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독자적인 기철학(氣哲學)의 체계를 완성하여,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
148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
-
서경우(徐景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서성(徐渻)의 아들로, 형조 판서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73~16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