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서경주(徐景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서성(徐渻)의 아들로, 선조의 딸 정신옹주(貞愼翁主)와 결혼하여 달성위(達城尉)에 책봉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총관(摠管)과 상의원 제조(尙衣院提調) 등을 지냄.
1579~164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경집(西坰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유근(柳根)의 문집. 1662년(현종 3) 외손 오정위(吳挺緯)가 공주(公州)에서 초간하고 외증손인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진표(金震標)가 1665(현종 6) 삼척에서 8권 3책으로 중간함.
166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서경집전(書經集傳)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채침(蔡沈)이 편찬한 《상서(尙書)》의 주해서(註解書). 6권. 저자가 스승인 주희(朱熹)의 명을 받아 편찬하였으며, 1313년에 과거(科擧)의 기본서로 정해져 세상에 널리 유통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경천(徐慶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역임함.
1505~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서계서원(西溪書院)@대구
조선 정조(正祖) 때 경상도 대구(大丘) 무태동(無怠洞)에 건립한 서원. 이문화(李文和)ㆍ이경임(李景任) 등을 배향함.
17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서계서원(西溪書院)@산음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산음(山陰)에 건립한 서원. 1677년(숙종 3)에 강휘망(姜徽望)의 상소로 사액을 받았으며, 오건(吳健)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山淸郡)에 속함.
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산음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서계집(西溪集)@이득윤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인 이득윤(李得胤)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서계집(西溪集)@박세당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세당(朴世堂)의 문집. 16권 8책. 목판본. 문인 이탄(李坦)ㆍ이덕수(李德壽)와 손자 박필기(朴弼基) 등이 편찬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서고(徐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서거정(徐居正)의 손자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으나, 사절(使節)을 받들고 명(明) 나라에 갔다가 도중에 죽음.
?~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고문훈(書古文訓)
중국 송(宋) 나라의 사공파(事功派) 학자인 설계선(薛季宣)이 지은 책. 《상서(尙書)》에 나오는 지명을 풀이하는 것이 주요 내용임.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골암(棲鶻巖)
충청도 단양(丹陽)에 있는 바위 이름. 김일손(金馹孫)이 단양을 여행하고 이요루(二樂樓)의 기문(記文)을 지으면서 서골암이라고 이름을 붙임. 《탁영집(濯纓集)》과 《속동문선(續東文選)》에 〈이요루기(二樂樓記)〉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지명>자연지명
-
서관란(徐觀瀾)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598년(선조 31) 정응태(丁應泰)의 무고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된 명 나라 사신.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구연(徐九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함양 군수(咸陽郡守)를 역임하였으며, 남계서원(灆溪書院)의 건립에 참여함.
1502~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균(徐鈞)
고려 성종(成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희(徐熙)의 증손(曾孫)으로,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 등을 역임함.
1060~113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서극일(徐克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으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판사(判事) 등을 지냄.
?~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서긍(徐兢)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1123년(인종 1) 고려에 사신으로 와서 개경(開京)에 1개월간 머무르고, 귀국 후 《고려도경(高麗圖經)》40권을 지어 고려의 실정을 송 나라에 소개함.
1091~115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기(徐幾)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절재(節齋) 채연(蔡淵)의 문인(門人)으로 경사(經史)에 능하였으며, 특히 《주역(周易)》에 정통하여 《진재역설(進齋易說)》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서달(徐達)
중국 명(明) 태조(太祖) 때의 무신. 태조를 따라 사방을 정략(征略)하였고, 중서 우승상(中書右丞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지고 죽은 뒤에 중산왕(中山王)에 추봉(追封)됨.
1332~138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서대이문록(西臺異聞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충(金冲)이 들은 바를 기록하여 저술한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