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서릉(徐稜)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이천(利川). 시중(侍中)을 지냈으며, 절효(節孝)로 향현사(鄕賢祠)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서릉(徐陵)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문신ㆍ시인. 동궁(東宮)에서 관직을 함께 했던 아버지 서추(徐推), 유견오(庾肩吾)ㆍ유신(庾信) 부자와 함께 화려한 궁체시(宮體詩)를 즐겨 지어 서유체(徐庾體)라 칭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서릉정려비(徐稜旌閭碑)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장성(長城)에 세운 정려비(旌閭碑).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효자인 서릉(徐稜)의 효행을 기림.
15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유적>기타유적
-
서막(徐邈)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성품이 청렴하고 엄한 금주령(禁酒令) 속에서도 술을 즐겼으며, 사예교위(司隸校尉) 등을 역임함.
170~24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명(西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장재(張載)가 학당(學堂)의 서쪽 창에 걸어놓은 글. 인의(仁義)에 입각한 유가(儒家)의 윤리설(倫理說)을 요약해서 서술한 것인데, 주희(朱熹)가 별도로 주(注)를 달아 해설하면서부터 세상에 크게 유행됨. 원래 명칭은 〈정완(訂頑)〉인데 정이(程頤)의 조언을 받아 개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서명도(西銘圖)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요로(饒魯)의 저서. 나와 우주의 관계를 논한 유교서적.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서명사천도(西銘事天圖)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인후(金麟厚)의 저서. 1557년(명종 12)에 저술되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전하지 않음.
1557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서명선(徐命善)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조 참판(吏曹參判) 때 세손(世孫)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홍인한(洪麟漢) 일파를 탄핵하여 정조의 즉위에 공헌하였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728~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서명응(徐命膺)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의 형으로, 대제학을 거쳐 상신(相臣)에 오르고 봉조하(奉朝賀)에 이름. 역학(易學)에 정통한 실학(實學)의 대가로 북학파(北學派)의 비조(鼻祖)로 일컬어짐.
1716~178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목(徐穆)
통일신라 말~고려 초의 호족(豪族). 이천(利川) 지방의 호족으로, 왕건(王建)이 남쪽으로 정벌을 하기 위하여 이 지역을 통과할 때 강을 쉽게 건널 수 있도록 도와줌.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경기도>이천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서문경(徐文卿)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인. 주희(朱熹)의 문하생으로, 조번(趙蕃)ㆍ한표(韓淲)와 명성을 나란히 하였고, 저서로 《소추시집(蕭秋詩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서문숙(徐文淑)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지례 현감(知禮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광조(趙光祖)의 유문(遺文)을 수집하여 《정암집(靜庵集)》을 편찬하는 데 기여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미성(徐彌性)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권근(權近)의 사위. 안주 목사(安州牧使)를 역임하였으며, 아들 서거정(徐居正)의 공훈으로 달천부원군(達川府院君)에 추증됨.
1383~14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서박(徐薄)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1497년(홍치 10) 황제의 칙령으로 《대명회전(大明會典)》 편찬에 착수하여 1549년(가정 28년)에 완성함.
1428~149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방(徐放)
중국 당(唐) 헌종(憲宗) 때의 문신. 자사(刺史) 등을 역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서복(徐福)
중국 진(秦) 나라의 방사(方士). 진시황(秦始皇)의 명을 받고 삼신산(三神山)의 불사약(不死藥)을 구하러 떠나 일본으로 갔다고 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서복경(徐福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서거정(徐居正)의 서자(庶子)로 이현보(李賢輔)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유학
-
서봉사현오국사탑비(瑞峯寺玄悟國師塔碑)
고려 명종(明宗) 때 지금의 경기도 용인시(龍仁市) 수지읍(水枝邑)에 세운 탑비(塔碑). 현오국사(玄悟國師)의 행적을 후대에 알리고자 세움. 고려 명종 때의 문신인 유공권(柳公權)의 필적임.
11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용인 , 유적>기타유적
-
서봉서원(瑞峯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강진(康津)에 건립한 서원. 이후백(李後白)ㆍ백광훈(白光勳)ㆍ최경창(崔慶昌)을 배향함.
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유적>건물>서원,향교
-
서사(書史)
중국 송(宋) 나라의 서예가ㆍ화가인 미불(米芾)이 지은 책. 1권. 서진(西晉)부터 오대(五代)까지 앞 세대 사람들의 진적(眞蹟)을 편차하여 평론하였으며, 인장(印章)ㆍ발미(跋尾)ㆍ지견(紙絹)ㆍ장배(裝褙) 등을 모두 자세히 실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