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소분생(蘇忿生)
중국 주(周) 나라 무왕(武王)~성왕(成王) 때의 문신. 사구(司寇) 등을 지냈으며, 형옥(刑獄)을 잘 다스림.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사(簫史)
중국 전설상의 퉁소의 명인. 유향(劉向)의 《열선전(列仙傳)》에 의하면, 춘추전국시대 사람으로 퉁소를 잘 불어 봉황을 춤추게 하였는데, 진(秦) 나라 목공(穆公)의 딸인 농옥(弄玉)과 혼인한 후 함께 신선이 되어 날아갔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소사식(蘇斯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소우석(蘇禹錫)의 아들로, 1474년(성종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온성 판관(穩城判官)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소상(蘇庠)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학자. 소식(蘇軾)이 그를 이백(李白)에 비유할 만큼 시(詩)로 명성을 떨침. 고종(高宗) 때 여러 차례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여산(廬山)에 은거함.
1065~114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소서비탄수(小西飛彈守)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왜장 소서행장(小西行長)의 부장으로, 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김경서(金景瑞)와 의기(義妓) 계월향(桂月香)이 함께 도모한 유인책으로 인해 죽임을 당했다고 전함.
1550~1626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소서행장(小西行長)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선봉장으로 평양(平壤)까지 침공하였으며,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두터운 신임을 받음. 덕천가강(德川家康)에 맞서 싸우다가 패하여 참수형을 받았으며, 카톨릭 신자로서 신앙심이 깊었음.
?~1600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소성제(昭成帝)@남북조(북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북연(北燕)의 제2대 왕. 풍발(馮跋)의 아우로, 북위(北魏)의 침략으로 용성(龍城)이 함락되자 고구려(高句麗)로 도망하였으나, 후에 장수왕(長壽王)에게 죽임을 당함.
?~43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성제(昭成帝)@남북조(북위)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추존왕. 전진(前秦)의 부견(苻堅)과의 싸움에서 패하여 도망쳐 떠돌다가 아들인 탁발식군(拓拔寔君)에게 피살됨.
320~37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세검(蘇世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쌍봉유고(雙峰遺稿)》를 저술함.
1483~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소세량(蘇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내고,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다는 평을 들음.
1476~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소소(簫韶)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음악 이름. 아홉 곡조를 연주하자 봉황새가 날아와 춤을 추었다 함.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소송(蘇頌)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우복야 겸 중서시랑(右僕射兼中書侍郞) 등을 지냈으며, 경사(經史)와 제자백가(諸子百家)는 물론 여러 분야에 능통하였고, 특히 의약학(醫藥學)과 천문학(天文學) 분야에 크게 공헌함.
1020~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소쇄원(瀟灑園)
조선 중종(中宗) 때 전라도 담양(潭陽)에 건립한 정원. 1530년(중종 25) 소쇄(瀟灑) 양산보(梁山甫)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스승인 조광조(趙光祖)가 사사되자 낙향한 후 계곡을 중심으로 원림(園林)을 조영함.
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유적>건물>누정
-
소수(疏受)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태자태부(太子太傅)로 있었던 소광(疏廣)의 조카로, 소부(小傅)를 지냄. 관직과 명성이 높아졌으나 그만두지 않으면 후회할 일이 생길 것이라며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수(蘇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세양(蘇世讓)의 아들. 음사(蔭仕)로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냄.
1517~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소수림왕(小獸林王)
고구려의 제17대 왕. 재위 371~384. 고국원왕(故國原王)의 아들. 전진(前秦)과 평화적 관계를 수립하고, 불교 수용ㆍ태학(太學) 설립ㆍ율령(律令) 반포 등을 통하여 고대국가 체제를 정비하였으며, 백제의 수곡성(水谷城)을 침공하여 견제함.
?~384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소수서원(紹修書院)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순흥(順興)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1542년(중종 37) 주세붕(周世鵬)이 창건하고, 1550년(명종 5)에 사액됨. 안향(安珦)ㆍ안축(安軸)ㆍ주세붕(周世鵬)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소순(蘇洵)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예리한 논법(論法)과 정열적인 평론(評論)으로 구양수(歐陽修)의 인정을 받아 명성을 떨쳤으며, 아들 소식(蘇軾)ㆍ소철(蘇轍)과 함께 ‘삼소(三蘇)’로 일컬어짐.
1009~106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소순흠(蘇舜欽)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ㆍ호주장사(湖州長史) 등을 지냄. 고문시가(古文詩歌)를 숭상하고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매요신(梅堯臣)과 이름을 나란히 함.
1008~104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