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신(蘇紳)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소송(蘇頌)의 아버지로, 한림 학사(翰林學士)ㆍ하양 지사(河陽知事) 등 내직과 외직을 두루 지냄.
999~104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신신(召信臣)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남양 태수(南陽太守)로 있을 때 어진 정사를 펼쳐 교화가 크게 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안(紹安)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혼수(混脩)에게 배워 출가했으며, 스승이 입적한 후 유방(遊方)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소암집(疎菴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임숙영(任叔英)의 시문집. 목판본. 초간본은 권임(權恁)이 유고를 수집하고 이식(李植)이 편정(編定)하였으며, 1635년(인조 13)에 이배원(李培元)ㆍ강여재(姜與載) 등이 충주(忠州)에서 간행함.
163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문헌>서명
-
소양(蘇瓖)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 때의 재상. 소정(蘇頲)의 아버지로, 우복야(右僕射)를 거쳐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 등을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양강(昭陽江)
강원도 중부지역을 남서류하여 춘천(春川) 북쪽에서 북한강(北漢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경관이 아름다워 시(詩)에 자주 차운(次韻) 되었음.
강원도>춘천ㅣ강원도>인제ㅣ강원도>양구 , 지명>자연지명
-
소양서원(瀟陽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문경(聞慶)에 건립된 서원. 정언신(鄭彥信)ㆍ심대부(沈大孚)ㆍ김낙춘(金樂春)ㆍ남영(南嶸) 등을 배향함.
17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문경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소양왕(昭襄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제후. 재위 BC.306~B.C.251. 주(周)의 난왕(赧王)을 항복시키고 육국(六國)의 합종(合縱) 세력을 격파하여 진 제국의 기초를 닦음. 조(趙) 나라의 화씨벽(和氏璧)을 취하려다 인상여(藺相如)로 인해 실패한 일로 유명함.
B.C.324~B.C.25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옹(少翁)
중국 한(漢) 무제(武帝) 때의 방사(方士). 방술(方術)로 무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효력이 점점 없어지자 몰래 백서(帛書)를 소에게 먹이고는 소를 잡아 백서를 꺼내게 해 신통력을 과시하려다가 들통나 결국 죽임을 당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소왕(昭王)@춘추전국(연)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연(燕) 나라의 제후. 재위 B.C.312~B.C.279. 곽외(郭隗)와 악의(樂毅)를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꾀했으며, 연 나라를 멸망시키려 한 제(齊) 나라와 전쟁을 일으켜 제 나라의 국력을 약화시킴.
?~B.C.2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왕(昭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4대 왕. 재위 B.C.995~B.C.977. 강왕(康王)의 아들로, 남쪽으로 초(楚) 땅을 정벌하였는데, 초인(楚人)들이 아교를 칠해 놓은 배를 타고 한수(漢水)를 건너다가 물에 빠져 죽었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왕(昭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515~B.C.489. 평왕(平王)의 아들. 공자(孔子)에게 서사(書社)의 땅을 봉하려 하다가 영윤(令尹) 자서(子西)의 간을 듣고 그만둠.
?~B.C.4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요당일고(逍遙堂逸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박하담(朴河淡)의 시문집(詩文集). 5권 2책. 목판본. 초간본(初刊本)은 1838년(헌종 4)에 박시묵(朴時默)ㆍ박정영(朴廷瑛) 등이 편집하여 간행함.
183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소우석(蘇禹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인달(蘇仁達)의 아들이며, 소사식(蘇斯軾)의 아버지.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소원명(蘇源明)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문신.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를 거쳐 국자 사업(國子司業)을 지냄. 두보(杜甫)와 절친하게 지내, 두보가 그를 포함한 여덟 명의 명신(名臣)을 애도하여 지은 팔애시(八哀詩)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육(蕭育)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문신. 태자태부(太子太傅)를 지낸 소망지(蕭望之)의 아들. 친구인 주박(朱博)과 서로 추천하여 높은 벼슬에 오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윤(小尹)
조선 인종(仁宗)의 이복동생 경원대군(慶原大君)의 외숙인 윤원로(尹元老)ㆍ윤원형(尹元衡) 일파를 지칭하는 말. 인종의 외숙 윤임(尹任) 일파인 대윤(大尹)과 세력다툼을 벌이다가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대윤 일파를 몰아냄.
한국>조선전기 , 사상>술어>핵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