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소의문(昭義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숭례문(崇禮門)과 돈의문(敦義門) 사이, 즉 지금의 서소문동 큰길에 있던 서남간문(西南間門)으로, 일반적인 통행로이면서 광희문(光熙門)과 함께 시신(屍身)을 성 밖으로 운반하는 통로 구실을 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소이간(蘇易簡)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림학사(翰林學士)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냈으며, 재능이 뛰어나고 문장(文章)으로 이름을 떨침.
958~99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소자성헌황후(昭慈聖獻皇后)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의 황후(皇后). 철종ㆍ휘종(徽宗) 때 폐출되었으나 복위되어 흠종(欽宗)ㆍ고종(高宗)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073~1131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소자파(蘇自坡)
조선 전기의 문신. 소효식(蘇效軾)의 아들로, 의빈부 도사(儀賓府都事)ㆍ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지냈으며, 소세량(蘇世良ㆍ소세검(蘇世儉)ㆍ소세양(蘇世讓) 등 일곱 아들이 모두 벼슬에 나가 현달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소장로(蘇長老)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독곡집(獨谷集)》에 〈차역암시운(次櫟菴詩韻)〉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소재집(疎齋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이이명(李頤命)의 시문집(詩文集). 20권 10책. 활자본. 1725년(영조 1) 수습한 유집(遺集)을 바탕으로 1759년(영조 35)에 손자 이봉상(李鳳祥)이 다시 편차(編次)하여 간행함.
175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소재집(穌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의 시문집(詩文集). 나흠순(羅欽順)이 쓴 발문(跋文)이 있음.
160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천안 , 문헌>서명
-
소정(蘇頲)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문신. 중서사인(中書舍人)ㆍ익주장사(益州長史) 등을 지내고, 문학에 조예가 깊어 현종의 총애를 받음.
670~72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소제(昭帝)
중국 한(漢)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B.C.87~B.C.74. 여덟 살에 즉위하였으나 곽광(霍光) 등의 보필을 받아 여러 차례 농민의 부담을 경감하였고, 흉노(匈奴)와 우호관계를 유지함.
B.C.94~B.C.7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조천융경(小早川隆景)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선봉장으로 벽제관(碧蹄館)에서 이여송(李如松)의 명(明) 나라 군사를 대패시켰으나, 금산(金山) 이치(梨峙)에서는 권율(權慄)에게 대패당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소종(昭宗)@북원
중국 북원(北元)의 제2대 황제. 재위 1370~1378. 원(元) 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순제(順帝)와 고려 출신인 기황후(奇皇后)의 소생. 주원장(朱元璋)에게 원이 함락되자 아버지 순제와 함께 몽고(蒙古) 지방으로 도주하여 북원을 세우고, 순제가 죽자 시호를 혜제(惠帝)로 고치고 2대 황제로 즉위함.
1339~137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종(昭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9대 황제. 재위 888~904. 재임 중 번진(蕃鎭)의 세력다툼과 잦은 농민봉기로 인해 실권을 잃고 결국에는 시해됨.
867~90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소주(蘇州)
중국 강소성(江蘇省) 남동부 태호(太湖) 동쪽에 있는 도시.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국도(國都)였으며, 그후 역대에 걸쳐 주변 지역의 행정 중심지로 중시됨. 수(隋) 나라 때 운하망(運河網)이 개통되어 항주(杭州)와 함께 번영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소준(蘇峻)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무신. 왕돈(王敦)의 반란을 진압할 때 공을 세우고 관군장군(冠軍將軍)이 되었으나, 성제 때 반역을 꾀하다가 유량(庾亮) 등에 의해 토벌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소지(小止)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선종(禪宗) 승려. 혜감국사(慧鑑國師) 만항(萬恒)의 수제자이며, 무학대사(無學大師) 자초(自超)의 스승. 1344년(충혜왕 5)에 자초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내림.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소지마립간(炤知麻立干)
신라 제21대 왕. 재위 479~499. 각 지방에 우역(郵驛)을 두고 경주(慶州)에 시장을 설치함. 고구려ㆍ말갈ㆍ왜적의 침입을 자주 받자,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에 대항함.
?~499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소진(蘇秦)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경대부. 낙양(洛陽) 출신으로 귀곡자(鬼谷子) 왕허(王詡)의 문하생이며, 각국에 진(秦) 나라에 대항하는 합종론(合縱論)을 유세하여 육국(六國)의 재상이 됨.
?~B.C.3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소천작(蘇天爵)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순제(順帝) 때의 문신ㆍ문인. 이부 상서(吏部尙書)ㆍ강절행성참지정사(江浙行省參知政事) 등을 지냈으나, 홍건적(紅巾賊)을 진압하다가 군중에서 사망함.
1294~1352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소철(蘇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 소순(蘇洵)의 아들이자 소식(蘇軾)의 동생으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좌천되었으나 복귀 후 문하시랑(門下侍郞) 등을 지냄.
1039~111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