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소총유고(篠䕺遺稿)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인 홍유손(洪裕孫)의 시문집(詩文集). 1책. 활자본. 1810년(순조 10) 저자의 8세손인 홍술조(洪述祖)가 구본(舊本)을 얻은 후 재편집하여 간행함.
181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소추시집(蕭秋詩集)
중국 남송(南宋) 광종(光宗) 때의 문인인 서문경(徐文卿)의 시집. 1권. 1191년에 조번(趙蕃) 등 13인과 창화(唱和)한 시가 실려 있으며, 1223년에 간행됨.
1223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소축집(小畜集)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이자 문인인 왕우칭(王禹偁)의 시문집(詩文集). 30권. 1147년에 심우경(沈虞卿)이 황주(黃州)에서 간행하였으며, 부(賦) 2권, 시(詩) 11권, 문(文) 17권으로 구성됨.
114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소탐(蘇耽)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선인(仙人). 인효(仁孝)로 널리 알려졌으며 득도하여 승천하기 전에 모친에게 미래에 닥칠 전염병에 대한 비방(秘方)을 알려 주어 백성을 구제하게 했다는 전설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소통(蕭統)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태자ㆍ문인. 제1대 황제인 무제(武帝)의 맏아들로,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에 조예가 깊고 특히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을 모아 《문선(文選)》을 편찬함.
501~53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소평(邵平)
중국 진(秦) 나라의 제후. 진 나라의 몰락한 귀족 출신으로 한(漢) 나라의 승상인 소하(蕭何)와 친교가 깊었지만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생활을 즐김.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하(蕭何)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 때의 재상. 고조를 도와 천하를 통일한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한 나라 왕조 경영의 기초를 다졌으며, 진(秦) 나라의 법률을 참고하여 《구장률(九章律)》을 편찬함.
?~B.C.19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경대부
-
소하진(蘇賀辰)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양곡(陽谷) 소세양(蘇世讓)의 손자이며, 면천 군수(沔川郡守) 소수(蘇遂)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문사>유학
-
소학(小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지은 아동용 수신서(修身書). 주희(朱熹)가 제자인 유청지(劉淸之)에게 어린아이들을 교화시킬 수 있는 내용의 서적을 편집하게 한 후 자신이 직접 교열하고 가필하여 1187년에 완성함.
1187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소학연의(小學衍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탁(鄭琢)이 송(宋) 나라 주희(朱熹)의 책을 간추려 만든 책. 《소학(小學)》의 입교(立敎)ㆍ명륜(明倫)ㆍ경신(敬身)의 의미를 확충하기 위해 만든 것이나 완성하지 못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소학집설(小學集說)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정유(程愈)가 지은 《소학(小學)》에 대한 주석서.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소학집주(小學集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지은 《소학(小學)》에 대한 주석서.
157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소학집해(小學集解)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 때의 문신 오눌(吳訥)이 지은 《소학(小學)》의 주석서(註釋書). 10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소한당집(所閑堂集)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권람(權攬)의 문집. 2질(帙).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소해(少海)
《산해경(山海經)》에 무고산(無皐山)의 남쪽에 있다는 바다. 천자(天子)는 대해(大海)에 비유하고 태자(太子)는 소해(少海)에 비유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소헌왕후(昭憲王后)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비. 본관은 청송(靑松). 심온(沈溫)의 딸로, 1418년 세종이 즉위하자 왕후로 봉해짐. 심온이 대역(大逆)의 혐의를 받고 사사되자 폐비(廢妃)의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인정되어 일축됨.
1395~14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소현(蕭顯)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진녕동지(鎭寧同知)ㆍ복건안찰첨사(福建按察僉事) 등을 지냈으며, 만년에 산해관(山海關) 위춘산(圍春山)의 별장에서 시서(詩書)로 소일하며 여생을 보냄.
1431~1506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소현서원(紹賢書院)
황해도 해주(海州) 고산면(高山面)에 있는 서원. 조선 선조(宣祖) 때 세워지고 광해군(光海君) 때 사액(賜額)되었으며, 고종(高宗) 때 철폐되었다가 1950년대 이후에 복원됨. 주희(朱熹)ㆍ조광조(趙光祖)ㆍ이이(李珥)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소현세자(昭顯世子)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맏아들. 효종(孝宗)의 형이며, 부인은 민회빈강씨(愍懷嬪姜氏). 병자호란 때 아우인 봉림대군(鳳林大君) 등과 함께 심양(瀋陽)에 끌려가 9년간 고초를 겪다가 귀국하였으나, 두 달 만에 원인 모를 병으로 급사함.
1612~16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소혜(蘇蕙)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 부견(符堅) 때의 열녀. 연파장군(連波將軍)을 지낸 두도(竇滔)의 아내로 두도가 죄를 입어 귀양가자, 남편을 그리워한 나머지 비단을 짜서 회문선도(回文旋圖)를 만들어 시(詩)를 써 보내주었다는 고사가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