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소혜왕후(昭惠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장남인 덕종(德宗)의 비. 본관은 청주(淸州).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딸로, 불경(佛經)에 조예가 깊어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부녀자가 지켜야 할 도리인 《내훈(內訓)》을 간행함.
1437~150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소호(召虎)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현신(賢臣). 군사(軍事)에 유능하여 회이(淮夷)를 정벌하는 등 공을 세우고, 방숙(方叔)과 함께 중흥(中興)의 시대를 이끎.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소호(少昊)
중국 고대의 전설적 황제.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하나로, 황제(黃帝)와 누조(嫘祖)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태호(太昊)의 법을 닦았기 때문에 소호(少昊)라 일컬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소호헌(蘇湖軒)
조선 전기에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건물. 함재(涵齋) 서해(徐嶰)의 별당(別堂)으로, 원래는 서해의 장인 이고(李股)가 건립하여 물려준 집이라 하며, 동편에 약봉(藥峰) 서성(徐渻)의 태실(胎室)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제
-
소홀(召忽)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인물. 관중(管仲)과 함께 공자규(公子糾)의 가신(家臣)이 되어 그를 섬겼는데, 왕위 다툼 때 공자규가 형인 환공(桓公)에게 죽음을 당하자 그를 위해 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소환(蘇渙)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과거에 급제하여 어사(禦史)를 지냄. 두보(杜甫)와 시문(詩文)에 대해 논함에 서로 의기(意氣)가 잘 부합했음. 저서에 《소환시(蘇渙詩)》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환시(蘇渙詩)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이자 문인인 소환(蘇渙)의 시집(詩集). 1권. 두보(杜甫)의 서(序)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소회유황후(昭懷劉皇后)
중국 송(宋) 철종(哲宗)의 계후(繼后). 소자황후 맹씨(昭慈皇后孟氏)를 이어 철종의 황후(皇后)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소효식(蘇效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희(蘇禧)의 아들이며, 소자파(蘇自坡)의 아버지이자, 소세양(蘇世讓)의 조부로,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소후(昭侯)
중국 춘추전국시대 채(蔡) 나라 제19대 제후. 재위 B.C.518~B.C.491. 오(吳) 나라를 도와 초(楚) 나라를 정벌하게 했으나, 초 나라를 두려워하여 오 나라에 가까운 주래(州來)로 나라를 옮기려고 하다 대부들에게 살해됨.
?~B.C.49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소희(紹熙)
중국 송(宋) 나라 제12대 광종(光宗) 때의 연호. 기간 1190~1194.
1190~1194 중국>송 , 중국 , 시간>연호
-
속고내(速古乃)
조선 전기의 여진족(女眞族) 수령. 회령(會寧) 일대를 자주 침범하였으나 조선의 북벌(北伐)에 의하여 신복(臣服)함.
한국>조선전기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속국조보감(續國朝寶鑑)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 홍귀달(洪貴達)ㆍ권건(權健) 등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한 역사서. 1500년(연산군 6)에 찬술(撰述)하여 올림.
15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속근사록(續近思錄)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채모(蔡模)가 주희(朱熹)의 말을 모아 편찬한 책. 14권. 목판본. 1227년에 찬집하였으며, 1710년에 간행됨.
1710 중국>청 , 중국 , 문헌>서명
-
속대전(續大典)
조선 영조(英祖) 때 편찬된 법전. 6권 4책. 목판본. 김재로(金在魯) 등이 왕명(王命)을 받아 편찬함. 《경국대전(經國大典)》 편찬 이후 최초로 개정된 정식 법전으로 《대전통편(大典通編)》ㆍ《대전회통(大典會通)》과 함께 조선시대 4대 법전의 하나로 꼽힘.
1746 한국>조선후기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속대학혹문(續大學或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의 저서. 주희(朱熹)의 《대학혹문(大學或問)》의 예에 따라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에서 《대학장구(大學章句)》와 서차나 해석을 다르게 한 이유를 문답 형식으로 풀이함. 1책. 목판본.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속동문선(續東文選)
조선 중종(中宗) 때 신용개(申用漑) 등이 서거정(徐居正)의 《동문선(東文選)》 취지를 이어 편찬한 시문집(詩文集). 23권 11책. 목판본.
151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속리산(俗離山)
충청도 보은(報恩)ㆍ괴산(槐山), 경상도 상주(尙州)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충청도>보은ㅣ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속몽구(續蒙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문인인 유희춘(柳希春)이 지은 아동용 교육서. 중국 당(唐) 나라 학자 이한(李瀚)의 《몽구(蒙求)》를 보고 감명을 받아 지은 것으로, 1570년(선조 3)에 안동(安東)에서 간행함.
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속무정보감(續武定寶鑑)
조선 성종(成宗) 때부터 명종(明宗) 초기까지의 전란과 분쟁을 진압한 전말을 기록한 책. 8권 4책. 목활자본. 1548년(명종 3) 왕명으로 홍언필(洪彦弼)ㆍ윤인경(尹仁鏡)ㆍ정순붕(鄭順朋) 등이 편찬함.
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