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인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사미인곡(思美人曲)〉에 이어 임금을 그리는 정을 두 여인의 문답형식으로 표현하였는데 뜻이 더욱 간절해짐. 두 작품을 함께 '전후미인곡(前後美人曲)'으로 부르며, 《송강가사(松江歌辭)》에 실려 전함.
158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문헌>작품명
-
속삼강행실도(續三綱行實圖)
조선 중종(中宗) 때 신용개(申用漑)가 왕명을 받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보유(補遺)하여 편찬한 책.
151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속선전(續仙傳)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 때의 문인인 심분(沈汾)이 36인의 신선(神仙)에 관한 이야기를 모아 엮은 책. 3권.
중국>오대십국 , 중국 , 문헌>서명
-
속수기문(涑水紀聞)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사마광(司馬光)이 지은 잡기(雜記) 형식의 역사서. 16권. 송 나라 태조(太祖)로부터 신종 때에 이르기까지의 사대부들의 잡사(雜事) 및 일사(逸事)를 기록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속어면순(續禦眠楯)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성여학(成汝學)이 지은 한문 소설집. 1책. 필사본. 음담패설을 모은 소화집(笑話集)으로, 32편의 설화(說話)가 실려 있으며, 1947년 송신용(宋申用)이 교주(校註)하여 간행함.
1947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명
중국 명(明) 나라 성화(成化) 연간에 상노(商輅) 등이 편찬한 역사서. 27권. 송(宋) 나라 태조(太祖) 때부터 원(元) 나라 순제(順帝) 때까지 408년간의 기록.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 김우옹(金宇顒)이 송(宋) 나라 태조(太祖) 때부터 원(元) 나라 순제(順帝) 때까지 408년간의 중국 역사를 강목체(綱目體)로 서술한 책.
18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속한림지(續翰林志)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소이간(蘇易簡)의 저서. 《한원군서(翰苑群書)》 하권에 수록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속휘변(續諱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문인인 유희춘(柳希春)이 경서(經書)에 나오는 잘못된 휘자(諱字)를 논한 글. 그의 시문집(詩文集)인 《미암집(眉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손^오(孫^吳)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병법가(兵法家)인 손무(孫武)와 위(魏) 나라의 병법가인 오기(吳起)를 함께 부르는 말. 병법(兵法)의 대가(大家)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손각(孫覺)
중국 송(宋)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호원(胡瑗)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 왕안석(王安石)과 교유함. 벼슬이 간의대부(諫議大夫)에 이름.
1028~1090 중국>송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손강(孫康)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어사대부(御史大夫)를 지냈으며, 집이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에 비추어 글을 읽었다는 형설지공(螢雪之功)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손견(孫堅)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무장(武將). 손책(孫策)ㆍ손권(孫權: 오(吳) 대제(大帝))의 아버지. 지방의 호족(豪族) 출신으로, 황건(黃巾)의 난(亂)과 동탁(董卓) 토벌에 공을 세웠으나, 유표(劉表)와의 전투에서 황조(黃祖)에게 사살됨.
156~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손경(孫曔)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의정부 우참찬 손중돈(孫仲暾)의 아들로, 충의위(忠義衛) 현신교위(顯信校尉)를 지냄.
1492~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손경의(孫景義)
조선 전기의 유학.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손곡시집(蓀谷詩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인 이달(李達)의 시집. 6권 1책. 활자본. 초간본(初刊本)은 1618년(광해군 10)에 허균(許筠)이 자신의 서문(序文)을 붙여 간행함.
161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손관(孫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 한성 윤(漢城尹) 손영유(孫永裕)의 아들이며, 격재(格齋) 손조서(孫肇瑞)의 아버지로, 진성 현감(眞城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손광유(孫光裕)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이웃에 우거하였으며, 《아계유고(鵝溪遺稿)》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무신
-
손린(孫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사직(司直) 손효근(孫孝謹)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손명(孫蓂)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생원 손흥례(孫興禮)의 아버지.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