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손무(孫武)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병법가(兵法家). 오(吳) 나라의 왕 합려(闔閭)를 도와 초(楚)ㆍ제(齊)ㆍ진(晉) 나라를 공략함으로써 패자(霸者)가 되게 하고, 중국 최초의 병서인 《손자(孫子)》을 저술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손문서(孫文恕)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관(醫官). 본관은 광주(光州). 어의(御醫) 손사명(孫士銘)의 아들로, 1590년(선조 23) 증광시(增廣試) 의과(醫科)에 입격하였으며, 의술이 뛰어나 추앙을 받음. 김성일(金誠一)의 《학봉집(鶴峯集)》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술인>의원
-
손민(孫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문관 부제학(藝文館副提學) 손비장(孫比長)의 아버지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손밀(孫密)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우찬성(右贊成)을 지낸 손순효(孫舜孝)의 아버지로, 정선 군수(旌善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손방(孫昉)
중국 송(宋) 나라의 태의(太醫). 스스로 ‘불탐불투 포난즉휴(不貪不妒飽暖卽休)’라 하여 물욕 없는 편안한 삶의 자세를 추구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손복(孫復)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국자감 직강(國子監直講)ㆍ전중승(殿中丞)을 지냈으며, 태산(泰山) 아래에서 문도를 모아 가르치고 글을 저술하여 태산학파(泰山學派)를 이룸. 저서로《수양자집(睢陽子集)》이 있음.
992~105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부(孫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휘종(徽宗) 때 소식(蘇軾)과 언론(言論)이 같다는 이유로 기주(蘄州)에 안치되기도 하였으며, 상서우승(尙書右丞)과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등을 역임함.
1078~112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손부(孫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손순효(孫舜孝)의 아들이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손주(孫澍)의 아우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손비장(孫比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수찬(藝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고,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빈(孫臏)
중국 전국시대의 병법가(兵法家). 손무(孫武)의 후손으로, 방연(龐涓)의 무고로 인해 빈형(臏刑)을 받은 데서 이름을 얻었으며, 제(齊) 나라 위왕(威王)의 군사(軍師)가 되어 계릉(桂陵)과 마릉(馬陵)의 전투에서 위군(魏軍)을 격파함.
?~B.C.31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손사명(孫士銘)
조선 선조(宣祖) 때의 어의(御醫). 의관(醫官) 손문서(孫文恕)의 아버지로 의술이 뛰어나 온 나라에 이름이 났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양예수(楊禮壽)와 함께 《의림촬요(醫林撮要)》를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술인>의원
-
손사성(孫士晟)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문과에 급제하여 부사직(副司直) 등을 지냈으며,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석(孫奭)
중국 송(宋)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경술(經術)로써 한림시강학사(翰林侍講學士)에 이르렀고, 저서에는 《악기도(樂記圖)》ㆍ《오경절해(五經節解)》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소(孫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종사관(從事官)으로 출정,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내섬시 정(內贍寺正)으로 특진됨.
1433~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손수(孫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문장(文章)과 기우(氣宇)가 뛰어났으며,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손수령(孫壽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손억(孫億)의 아들이며, 호조 정랑(戶曹正郞) 손창(孫昌)의 아버지로, 성균관 생원(成均館生員)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손수산(孫守山)
조선 전기의 문신. 1445년(세종 27) 신숙주(申叔舟)ㆍ성삼문(成三問) 등과 함께 요동(遼東)에 가서 당시 유배중이던 명(明) 나라의 한림학사 황찬(黃瓚)에게 음운(音韻)을 물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손숙겸(孫叔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손경유(孫景裕)의 아들이며, 호조 참판(戶曹參判) 손식(孫軾)의 아버지로,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손숙돈(孫叔暾)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이언적(李彦迪)의 외숙으로, 조한보(曺漢輔)와 무극(無極)ㆍ태극(太極)에 관한 논변서(論辨書)를 주고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손순(孫順)
통일신라 흥덕왕(興德王) 때의 효자. 경주손씨(慶州孫氏)의 시조. 어머니의 음식을 빼앗아 먹는 어린아이를 매장하려다 석종(石鐘)을 얻은 후 왕으로부터 포상을 받았으며, 후에 옛집을 희사하여 홍효사(弘孝寺)라는 절을 삼았다 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