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손순매아(孫順埋兒)
손순(孫順)이 아이를 묻음. 통일신라 흥덕왕(興德王) 때 손순이 어머니의 음식을 빼앗아 먹는 자신의 아이를 매장하려다 석종(石鐘)을 얻은 후 왕에게 포상을 받은 설화(說話)에서 유래한 것으로, 하늘이 감동한 지극한 효행을 뜻함.
한국>통일신라 , 사상>술어>고사성어
-
손순조(孫順祖)
조선 전기의 문신. 평강 훈도(平康訓導)를 지냈으며, 홍유손(洪裕孫)의 《소총유고(篠䕺遺稿)》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관인>문신
-
손순효(孫舜孝)
조선 문종(文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우찬성(右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식료찬요(食療撰要)》를 간행함.
1427~149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손식(孫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로,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낸 손숙겸(孫叔謙)의 아들. 전라도 관찰사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손여성(孫汝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손형(孫蘅)의 아들. 효성이 지극하였고,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ㆍ남원 부사(南原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손영제(孫英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많은 사재를 희사하여 도산서원(陶山書院) 건립에 크게 이바지함. 저서로 《추천집(鄒川集)》이 있음.
1521~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우(孫虞)
중국 전국시대 때의 역학자(易學者). 공자(孔子)의 역학(易學) 전승에 있어 제5대 전수자로, 주추(周醜)에게 역학을 전수받아 전하(田何)에게 전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손우문집(遜愚文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석(洪錫)의 시문집. 8권 3책. 석인본(石印本). 아들 홍사효(洪思孝)가 편집하였으며, 1933년에 간행함.
1933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손응시(孫應時)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육구연(陸九淵)에게 수학하고, 주희(朱熹)와 교유하였으며, 저서에 《촉호집(燭湖集)》이 있음.
1154~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손임보(孫林父)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영식(甯殖)과 함께 헌공(獻公)을 폐하고 상공(殤公)을 세웠으나, 영희(甯喜)와 총애를 다투다가 공격을 받아 진(晉) 나라로 도망침. 중국 척씨(戚氏)의 시조로 일컬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손자수(孫自修)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종제(從弟)인 손자신(孫自新)ㆍ손자임(孫自任)과 함께 주희(朱熹)에게 수학하였으며, 주희의 전훈(傳訓)을 기록한 책 1권이 《주자어록(朱子語錄)》에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손작(孫綽)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 시부(詩賦)에 능하여 〈천태산부(天台山賦)〉 등을 지어 당대에 이름을 떨치고, 저작좌랑(著作佐郞) 등을 지냄.
314~37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손조서(孫肇瑞)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 학문과 시문의 대가로 김종직(金宗直)과 친교를 맺고,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을 제자로 두었으며, 사육신(死六臣)의 옥사가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은둔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손주(孫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함께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의 처벌에 가담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3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손준(孫峻)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ㆍ종친. 손공(孫恭)의 아들로, 태상경(太常卿) 등윤(滕胤)과 함께 오왕(吳王) 손량(孫亮)을 꾀어 대장군(大將軍) 제갈각(諸葛恪)을 제거한 후 권력을 장악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손중돈(孫仲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직(淸宦職)을 두루 역임하였고, 중종(中宗) 때 청백리에 녹선됨.
1463~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손지재집(遜志齋集)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학자인 방효유(方孝孺)의 시문집. 24권. 시(詩) 2권, 문(文) 14권, 잡저(雜著) 8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561년 범유일(范惟一)이 편집하여 간행함.
1561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손창(孫昌)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문과에 급제하여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역임하였고, 유호인(兪好仁)과 도의(道義)로 사귐.
1438~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손책(孫策)
중국 후한(後漢) 말의 무신. 손견(孫堅)의 아들이며, 오(吳) 나라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형. 원술(袁術)의 휘하에서 강남(江南)을 평정하였으나, 원술이 제위(帝位)에 오르려 하자 이를 격렬하게 비난하고 조조(曹操)와 손을 잡음.
175~20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손처눌(孫處訥)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일직(一直).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학문과 효행이 뛰어남. 왜란(倭亂)과 호란(胡亂) 때 창의하고, 난리 후에 향교 재건에 앞장섬. 대구(大邱) 청호서원(靑湖書院)에 배향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