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손천우(孫天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각재(覺齋) 하항(河沆) 등과 함께 덕천서원(德川書院)을 건립함.
1533~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손침(孫綝)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경제(景帝) 때의 승상. 권신 손준(孫峻)의 종제(從弟)로, 제2대 황제인 폐제(廢帝: 손량(孫亮))를 폐위하고 손휴(孫休)를 세워 제3대 황제로 삼았으나,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다 결국 피살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손형(孫蘅)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손수창(孫秀昌)의 아들이며, 남원 부사(南原府使) 손여성(孫汝誠)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손홍량(孫洪亮)
고려 충선왕(忠宣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으로, 격재(格齋) 손조서(孫肇瑞)의 고조(高祖). 충정왕(忠定王) 때 공신에 책록되고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냈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궤장(几杖)과 자신의 초상화를 하사받음.
1287~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손홍륜(孫弘綸)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집(河西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손효근(孫孝謹)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생원 손린(孫璘)의 아버지로, 사직(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손효조(孫孝祖)
조선 전기의 유학.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김용석(金用石) 등과 함께 주희(朱熹)의 고사에 의거하여 향약(鄕約)을 만들고 《소학(小學)》을 강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손흥례(孫興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지헌(芝軒) 정사성(鄭士誠), 용담(龍潭) 박이장(朴而章) 등과 교유함.
154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송(宋)
중국의 통일 왕조. 조광윤(趙光胤)이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국가. 개봉(開封)에 도읍했던 북송(北宋) 시대와 정강(靖康)의 변(變) 때 임안(臨安)으로 천도한 이후의 남송(南宋) 시대로 구분됨.
960~1277 중국>송 , 중국 , 시간>국명
-
송(宋)@남북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남조(南朝) 최초의 왕조. 동진(東晉) 말기에 유유(劉裕)가 진(晉) 나라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나라로, 8대 60년간 존속.
420~47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송^양(宋^揚)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ㆍ대부인 송옥(宋玉)과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인 양웅(揚雄)을 함께 부르는 말. 시를 잘 짓는 사람을 가리킴.
중국>전한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송가원(宋可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송처은(宋處殷)의 아들이며, 청백리(淸白吏) 송흠(宋欽)의 아버지로, 문소전 참봉(文昭殿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송간(宋侃)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남방을 순시하고 돌아오다가 단종(端宗)이 영월(寧越)에 안치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영월로 가서 복명(復命)한 후 낙향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간집(松澗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정회(李庭檜)의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949년에 간행됨.
1949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송갑조(宋甲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아버지로, 광해군 때 서궁(西宮)에 유폐된 인목대비(仁穆大妃)를 배알하였다가 유적(儒籍)에서 삭제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등을 지냄.
1574~162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강서원(松江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창평(昌平)에 건립한 서원. 1694년(숙종 20)에 창건되고, 1706년(숙종 32)에 사액되었으며, 정철(鄭澈)을 배향함. 지금의 전라남도 담양군(潭陽郡)에 속함.
169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송강정(松江亭)
조선 영조(英祖) 때 정철(鄭澈)의 후손들이 전라도 창평(昌平)에 건립한 정자. 원래는 정철이 낙향한 후 은거하며 〈사미인곡(思美人曲)〉ㆍ〈속미인곡(續美人曲)〉 등을 집필했던 초막이 있던 곳으로, 지금의 전라도 담양군(潭陽郡)에 속함.
177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유적>건물>누정
-
송강집(松江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철(鄭澈)의 시문집. 1633년(인조 11)경에 아들 정홍명(鄭弘溟)이 원집(原集) 2권 1책을 목판본으로 간행함.
163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거(宋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宋玹壽)의 아들이자, 단종(端宗)의 처남으로,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경력(經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송거신(宋居信)
고려 말~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태종(太宗)이 잠저(潛邸) 시절 사냥에 나갔다가 위기에 빠지자 필사적으로 구출하였으며, 태종 즉위 후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9~144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