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송겸(宋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1520년(중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장원(壯元)하여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경(宋璟)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명재상. 요숭(姚崇)과 함께 개원(開元)의 치세(治世)를 이끌었으며, 그가 지은 〈매화부(梅花賦)〉는 문인들 사이에 널리 회자됨.
663~73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송경(宋瓊)
조선 전기의 문신. 송애(松厓) 이여(李畬)와 절친한 벗으로, 훈도(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송경원(宋慶元)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김종직(金宗直)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였으며, 영월(寧越)에 유폐된 단종(端宗)이 죽자 임실(任實) 백이산(伯夷山)에 은거하여 절개를 지키다가 죽음.
1419~151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임실 , 인명>관인>문신
-
송계만록(松溪漫錄)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인 권응인(權應仁)이 지은 일종의 시화집(詩話集). 상ㆍ하 2권. 내용은 대부분 고금 명문장가들의 시화를 기록한 것이며, 하권에는 조야(朝野)로부터 보고들은 설화(說話)들도 채록되어 있음.
1588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송계사(宋繼祀)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쌍청당(雙淸堂) 송유(宋愉)의 아들이자, 송요년(宋遙年)ㆍ송순년(宋順年)의 아버지로, 상주 판관(尙州判官) 등을 지냈으며,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계서원(松溪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충청도 황간(黃澗)에 건립한 서원. 1664년(현종 5)경에 창건되었으며, 조위(曺偉)ㆍ박영(朴英)ㆍ김시창(金始昌)ㆍ박응훈(朴應勳)ㆍ남지언(南知言)ㆍ박유동(朴惟東) 등을 배향함. 지금의 충청북도 영동군(永同郡)에 속함.
166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황간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송계실기(松溪實記)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신계성(申季誠)의 유문(遺文)과 행적 등을 모아놓은 실기(實記). 1815년(순조 15) 후손인 신호인(申顥仁) 등이 수집ㆍ간행함.
181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
조선 전기의 학자 이황(李滉)이 여러 서책에서 남송(南宋) 이래 명대(明代)에 이르는 성리학자(性理學者)들의 언행(言行)과 사적(事跡)을 뽑아 정리한 책.
155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송계집(松溪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인 권응인(權應仁)의 시문집. 5권 2책. 목판본. 시 570수와 만록 15편 등이 실려 있으며, 서문ㆍ발문이 없어 간행경위는 알 수 없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곡서원(松谷書院)@永川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영천(永川)에 건립한 서원. 1702년(숙종 28) 건립되어 유방선(柳方善)ㆍ곽순(郭珣)ㆍ이보흠(李甫欽)ㆍ이현보(李賢輔) 등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송곡서원(松谷書院)@서산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서산(瑞山)에 건립된 서원. 유방택(柳方澤)ㆍ유백유(柳伯濡)ㆍ정인경(鄭仁卿)ㆍ정신보(鄭臣保) 등을 배향함.
169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송광사(松廣寺)
전라남도 순천(順天)의 조계산(曹溪山)에 있는 사찰. 신라 말 체징(體澄)이 길상사(吉祥寺)를 창건한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해인사(海印寺)ㆍ통도사(通度寺)와 함께 우리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 가운데 승보사찰(僧寶寺刹)로 유명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사찰
-
송구(宋枸)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산(礪山). 생원(生員) 송호지(宋好智)의 아들이며, 사성(司成) 송승희(宋承禧)의 아버지로, 1534년(중종 2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송구(宋駒)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송기손(宋麒孫)의 아들이며, 교서관 권지(校書館權知) 송정황(宋庭篁)의 아버지로, 동복 현감(同福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송귀(宋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 송희경(宋希璟)의 동생으로,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패망한 고려를 못 잊고 새로 건국된 조선에 승복하지 않음으로써 전라도 영광(靈光) 삼계(三溪)로 이주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송귀수(宋龜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세량(宋世良)의 아들로, 효도와 우애가 깊었으며, 음서(蔭敍)로 종묘서 봉사(宗廟署奉事) 등을 역임함.
1497~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규렴(宋奎濂)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인. 학문이 뛰어나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 등과 함께 삼송(三宋)으로 일컬어지고, 전서(篆書)ㆍ주서(籒書)에 능함.
1630~17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송규창(宋奎昌)
조선 후기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송극기(宋克己)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송명의(宋明誼)의 아들이며, 부사정(副司正) 송유(宋愉)의 아버지로, 진사(進士)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