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송극창(宋克昌)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륜(宋倫)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송천희(宋千喜)의 아버지로, 1453년(단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지냄.
143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기(宋圻)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의 손자이고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 송유의(宋惟毅)의 아들로, 순천 부사(順天府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5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기수(宋麒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정미사화(丁未士禍)로 사사(賜死)된 송인수(宋麟壽)의 종제(從弟). 명종(明宗) 때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남수(宋柟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냈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도주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곧 사면되었고, 이후 낙향하여 쌍청당(雙淸堂)을 중수함.
1537~162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송녕(宋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송지정(宋之楨)의 아들이며, 이암(頤庵) 송인(宋寅)의 사촌 동생. 평강 현감(平康縣監)ㆍ안성 군수(安城郡守)ㆍ광주 목사(廣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눌(宋訥)
중국 원(元) 말 명(明) 초의 문신ㆍ학자. 학문에 해박하여 명조(明朝)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함. 저서로 《서은집(西隱集)》이 있음.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송능상(宋能相)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송시열(宋時烈)의 현손이며, 한원진(韓元震)의 문인(門人)으로, 윤봉구(尹鳳九) 등 노론 학자들과 교유하였으며,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묘향산(妙香山)에 들어가 《대학(大學)》을 강론함.
1709~175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담서원(松潭書院)
강원도 강릉(江陵)에 있는 서원. 1630년(인조 8) 학산리에 석천서원(石川書院)을 건립하여 이이(李珥)의 위패를 모셨으며, 1652년(효종 3)에 현재의 언별리로 옮김. 1660년(현종 1) 사액됨.
1630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송당집(松堂集)@박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ㆍ학자인 박영(朴英)의 시문집. 5권 2책. 목판본. 1655년(효종 6) 4대손 박경길(朴敬吉)이 편집ㆍ간행하였고, 1905년 후손 박문호(朴文浩)가 중간함.
165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당집(松堂集)@조준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인 조준(趙浚)의 시문집. 4권 2책. 아들인 조대림(趙大臨)이 간행을 도모하였으나 1669년(현종 10)에서야 9대손 조성(趙䃏)이 가장유고(家藏遺稿)를 바탕으로 간행하였으며, 1901년 17세손 조재명(趙載明)ㆍ조재곤(趙載坤) 등이 중간함.
16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당집(松塘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유홍(兪泓)의 시집. 4권 2책. 목판본. 손자 유백증(兪伯曾)이 편집ㆍ간행하였으나 간행연도는 알 수 없음. 아들인 유대일(兪大逸)의 시문집인 《용은집(慵隱集)》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대립(宋大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청홍도 우후(淸洪道虞候)를 지낸 송옥(宋玉)의 아들.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성혼(成渾)과 교유함.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542~158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송대빈(宋大斌)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중이던 1593년(조선 선조 26)에 제독(提督) 이여송(李如松) 휘하의 유격장군(遊擊將軍)으로 이천(二千)의 병마(兵馬)를 이끌고 조선에 왔다가 이듬해 정월에 돌아감.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송대원(宋大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중국 당(唐) 나라에서 호부 상서(戶部尙書)를 지낸 송주은(宋柱殷)의 후예로,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짐. 은진송씨(恩津宋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덕상(宋德相)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교관 송무원(宋婺源)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현손. 정조 때 산림(山林)의 중심인물로 천거되어 활약하였으나, 홍국영(洪國榮)의 실각 후 정감록 사건에 연루되어 노론벽파(老論辟派)로 몰려 죽음.
?~178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도기이(松都記異)
조선 인조(仁祖) 때 이덕형(李德泂)이 쓴 송도(松都)에 얽힌 기이한 이야기를 모은 야담 설화집. 1권 1책. 활자본. 모두 15편의 이야기로, 송도 출신 명사들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며, 《대동야승(大東野乘)》에도 수록됨.
163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도삼절(松都三絶)
송도(松都, 開城)의 세 가지 뛰어난 존재. 조선 명종(明宗) 때 개성 명기(名妓)인 황진이(黃眞伊)가 개성의 세 가지 빼어난 것을 지적한 데서 나온 고사로, 서경덕(徐敬德)ㆍ황진이ㆍ박연폭포(朴淵瀑布)를 뜻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사상>술어>고사성어
-
송도지(松都誌)
조선 정조(正祖) 때 정창순(鄭昌順)이 편찬한 개성(開城)의 사적(事跡)을 적은 지지(地誌). 7권 3책. 목판본. 1648년(인조 26) 김육(金堉)이 개성 최초의 지지를 만들어 계속 증수되다가 영조(英祖) 때 오수채(吳遂采)가 속지(續誌) 1권을 증보하고, 1782년(정조 6)에 정창순이 완성함.
178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렴(宋濂)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오내(吳萊)ㆍ유관(柳貫)ㆍ황잠(黃潛) 등의 문하에서 수학함. 원(元) 나라 말기 전란을 피하여 용문산(龍門山)에 은거하며 저작 활동을 했으며, 《원사(元史)》의 편수를 주관함.
1310~1381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륜(宋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송석충(宋碩忠)의 아버지로, 현령(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