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송림서원(松林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무안(務安)에 건립한 서원. 1682년(숙종 8)에 사액되었으며, 김권(金權)ㆍ유계(兪棨)를 배향함.
163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송만달(宋萬達)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내자시 소윤(內資寺少尹)을 지낸 송진생(宋辰生)의 아들이고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공손(宋恭孫)의 아버지로, 경원 부사(慶源府使)를 지냄.
1397~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송맹경(宋孟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의주 , 인명>관인>문신
-
송맹동야서(送孟東野序)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韓愈)가 벗인 맹동야(孟東野)를 보내며 쓴 서(序). 나이 50을 넘어 벼슬길에 들어서서 지방관리로 떠나는 맹동야를 위로하면서 지은 글.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대유(大儒)인 주희(朱熹)가 송 나라의 대표적 명신(名臣) 97명의 언행을 뽑아 기록한 책. 치세(治世)의 요령과 처세술이 풍부하게 담겨 있음.
117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송명의(宋明誼)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냈으며, 고려의 국운이 쇠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송명파수집(松明破睡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인인 이영원(李永元)의 저서. 이영원이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고산현(高山縣)에 유배되었을 때 고금명현(古今名賢)의 절구(絶句)와 근율(近律)을 적어 만듦.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산 , 문헌>서명
-
송명흠(宋明欽)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송준길(宋浚吉)의 현손이자 이재(李縡)의 문인. 옥과 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내고, 경연관(經筵官)이 되어 정치 문제를 논하다가 파직된 뒤 사후에 복관됨.
1705~176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무원(宋婺源)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증손이며, 통덕랑(通德郞) 송회석(宋晦錫)의 아들. 숙종이 황단(皇壇)에 친사(親祀)할 때 최석정(崔錫鼎)의 수상(首相) 임명을 반대하여 유배됨. 왕명으로 《송자대전(宋子大全)》의 간행을 주관함.
1677~17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송문중(宋文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조선 태조가 잠저(潛邸)에 있을 때 그를 보좌하였고, 풍해도 관찰사(豐海道觀察使)를 지낼 때 왜구(倭寇)를 물리치는 등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송문헌공전집(宋文憲公全集)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렴(宋濂)의 저서. 53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송미년(宋眉年)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중군위 사직(中軍衛司直) 송계중(宋繼中)의 아들이며, 송여우(宋汝雨)의 아버지로, 사재감 주부(司宰監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밀(宋密)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훈도(訓導) 송경(宋經)의 손자로, 예빈시 주부(禮賓寺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송방조(宋邦祚)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임진왜란 때 충청도 영동(永同)에서 의병을 모집함. 평안도 병마평사(平安道兵馬評事)로 있을 때 용천관(龍川館)에서 급사함.
1567~16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송방현(宋邦賢)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야로(冶爐). 송소(宋紹)의 아들이며, 집의(執義) 송희규(宋希奎)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무신
-
송병선(宋秉璿)
조선 후기~근대의 문인ㆍ순국지사.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9세손이며, 송병순(宋秉珣)의 형. 을사조약(乙巳條約)에 반대하는 운동을 하였고, 국권 피탈에 통분하여 자결함. 저서로 《근사속록(近思續錄)》ㆍ《무계만집(武溪謾輯)》ㆍ《연재집(淵齋集)》 등이 있음.
1836~1905 한국>근대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문인
-
송병순(宋秉珣)
조선 고종(高宗)~근대의 문신ㆍ순국지사. 본관은 은진(恩津).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토오적문(討五賊文)〉을 지어 민족정기의 앙양과 국권회복을 호소하고, 경술국치(庚戌國恥) 후에 일제의 회유책에 맞서 음독 자결함.
1839~1912 한국>근대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송복견(宋福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진천(鎭川). 문과에 급제한 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ㆍ만포 첨사(滿浦僉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송복기(宋福基)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야성(冶城). 충순위(忠順衛) 송의(宋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추천으로 소촌도 찰방(召村道察訪)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 평생 명사(名士)들과 시주(詩酒)로 교유하며 일생을 마침.
1541~160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양양 , 인명>관인>문신
-
송복원(宋復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송현수(宋玹壽)의 아버지로,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