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송복천(宋福川)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신평(新平). 효력부위(效力副尉) 송수지(宋壽之)의 아들이며 송태(宋泰)의 아버지로, 분순부위(奮順副尉)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무신
-
송복흥(宋復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전(宋琠)의 아들이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절한 동래 부사(東萊府使) 송상현(宋象賢)의 아버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송화 현감(松禾縣監)을 지냄.
1527~159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송부(宋傅)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학자. 1099년 도가서(道家書)인 《진무경(眞武經)》을 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송부필(宋富弼)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동생 송익필(宋翼弼)ㆍ송한필(宋翰弼)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언론에 능했으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친교(親交)함.
?~159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문사>유학
-
송분(宋玢)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행신(倖臣). 임유무(林惟茂)를 제거하고 충렬왕(忠烈王)이 세자 시절 원(元) 나라에 인질이 되었을 때 공을 세웠으나, 충선왕(忠宣王)과 충숙왕(忠肅王) 부자 사이를 이간시키는 등 모략을 일삼다가 유배됨.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사련(宋祀連)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익필(宋翼弼)ㆍ송부필(宋富弼)ㆍ송한필(宋翰弼)의 아버지.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켜 안처겸(安處謙) 등의 가문에 화를 입히고, 종신토록 세력을 잡았으나, 죽은 뒤 관작(官爵)을 삭탈당함.
1496~157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사침(宋士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훈도(訓導)를 지내고, 노수신(盧守愼)ㆍ조서(曺湑)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송산서원(松山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선산(善山)에 건립한 서원. 1656년(효종 7) 사액되었으며, 최응룡(崔應龍)ㆍ최현(崔晛)ㆍ김응기(金應箕)ㆍ김진종(金振宗)ㆍ강유선(康惟善)ㆍ노경임(盧景任)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에 속함.
164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송상주(宋相周)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5대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송상현(宋象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화 현감(松禾縣監) 송복흥(宋復興)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동래 부사(東萊府使)로서 항전하다가 순직함.
1551~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무신
-
송서(宋瑞)
고려 공민왕(恭愍王)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분(宋玢)의 아들로, 조일신(趙日新)이 인사를 천단할 때 우정승(右政丞)을 지냄.
?~135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석충(宋碩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야로(冶爐). 현령(縣令) 송륜(宋綸)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굉필(金宏弼)ㆍ최부(崔溥) 등 교유하던 인물들이 화(禍)를 당하자 향리(鄕里)에 내려가 서사(書史)에 몰두함.
1454~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송선(宋璿)
고려 후기의 문신. 민제(閔霽)의 장인이며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송씨(宋氏)의 아버지로, 여양군(礪良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섬(宋纖)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전량(前涼)의 학자. 품덕(品德)과 조행(操行)이 뛰어나고 주천(酒泉)의 남산(南山)에 은거하여 경학(經學)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교육에도 힘써 문하의 학생이 삼천 명에 이르렀다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송세감(宋世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자산 군수(慈山郡守) 송여림(宋汝霖)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유학
-
송세량(宋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여해(宋汝諧)의 아들로, 선릉 참봉(宣陵參奉)ㆍ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 등을 지냄.
1473~15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세림(宋世琳)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연손(宋演孫)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그림과 글씨에 모두 뛰어났으며, 저서로 《어면순(禦眠楯)》이 있음.
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세정(宋洗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숙기(宋叔琪)의 아들이며, 판윤(判尹) 송겸(宋㻩)의 아버지로,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현령(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세증(宋世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천(鎭川). 송선효(宋善孝)의 아들이며, 찬성(贊成) 송찬(宋贊)과 승지(承旨) 송하(宋賀)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유학
-
송세충(宋世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으로,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거쳐 경상도 도사(慶尙道都事) 등을 역임함.
1468~152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