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송세협(宋世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양근 군수(楊根郡守) 송여림(宋汝霖)의 아들이고 안악 군수(安岳郡守) 송세훈(宋世勛)의 동생. 쌍청당(雙淸堂) 옆에 건물을 지었는데, 조카 송남수(宋柟壽)가 증축(增築)하여 절우당(節友堂)이라고 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유학
-
송세형(宋世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문장에 능하고 행정능력이 뛰어났으며, 특히 재정(財政)에 밝아 시폐(時弊) 개혁에 힘씀.
?~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관인>문신
-
송세훈(宋世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양근 군수(楊根郡守) 송여림(宋汝霖)의 아들이고 임천 군수(林川郡守) 송남수(宋柟壽)의 아버지로, 안악 군수(安岳郡守)를 지내고 호조 참의(戶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송소집(松巢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권우(權宇)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송례(宋松禮)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원종 때 문하성 직사(門下省直事)로서 홍규(洪奎)와 함께 권신 임유무(林惟茂)를 죽이고 왕정(王政)을 복고시켰으며, 찬성사 중찬(贊成事中贊) 등을 역임함.
?~128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숙형(宋淑亨)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훈련원 참군(訓鍊院參軍)을 지내고, 김일손(金馹孫)과 함께 김해 향약(金海鄕約)을 제정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송순(宋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며, 면앙정가단(俛仰亭歌壇)의 창설자이자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로서, 조선 시가문학(詩歌文學)에 크게 기여함.
1493~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송순년(宋順年)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계사(宋繼祀)의 아들이며, 헌납(獻納) 송여해(宋汝諧)의 아버지로, 1469년(예종 1) 추장시(秋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승희(宋承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진사(進士) 송구(宋枸)의 아들이고 병조 참판을 지낸 송일(宋馹)의 아버지로, 정랑(正郞)ㆍ사성(司成)을 지냄.
1538~15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시영(宋時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상의원 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지냄. 정묘호란 때 왕을 보필하였으며,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로 갔다가 성이 포위당해 이시직(李時稷) 등과 함께 자결함. 영동(永同) 초강서원(草江書院) 등에 배향됨.
1588~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악산(松岳山)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는 산 이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기은제(祈恩祭)를 지냈던 산 중의 하나로,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송악산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고 함.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송암집(松巖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인 권호문(權好文)의 시문집. 6권 2책. 목판본. 1680년(숙종 6) 청성서원(靑城書院)의 산장(山長) 유원진(柳元振)과 김억기(金億基)ㆍ이보(李簠) 등이 편집ㆍ간행함.
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송양지인(宋襄之仁)
아녀자와 같은 쓸데없는 동정심이라는 뜻.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양공(襄公)이 초(楚) 나라와 싸울 때 쓸데없는 인정을 베풀다가 참패한 데서 나온 고사로, 어리석은 대의명분을 내세우거나 불필요한 인정이나 동정을 베풀다가 오히려 심한 타격을 받는 것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송언신(宋言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축출됨. 저서로 《성학지남(聖學指南)》이 있음.
1542~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여림(宋汝霖)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낸 송요년(宋遙年)의 아들로, 양근 군수(楊根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송여옥(宋汝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청성산(靑城山)에 은거한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을 찾아가 《시전(詩傳)》ㆍ《근사록(近思錄)》 등을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송여우(宋汝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송미년(宋眉年)의 아들로, 세상에 명성을 구하지 않고 초야에서 유유자적하며 지냄.
1460~152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송여원(宋汝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청성산(靑城山)에 은거한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을 찾아가 동생 송여옥(宋汝沃)과 함께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송여익(宋汝翼)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송순년(宋順年)의 아들로, 1472년(성종 3)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나 과거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의약(醫藥)에 조예가 깊고 부(富)를 축적하여 빈민을 구제함.
1454~152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