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송여해(宋汝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음직(蔭職)으로 참봉(參奉)이 되고 안동 부사(安東府使)로 나아가 선정을 베풂.
1452~15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연손(宋演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불우헌(不憂軒) 정극인(丁克仁)의 문인으로, 중종의 잠저(潛邸) 시절에 사부(師傅)를 지냄. 신광한(申光漢)이 지은 신도비명(神道碑銘)이 있음.
1460~150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관인>문신
-
송영(宋瑛)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1485년(성종 16)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거친 후에 예조 참판(禮曹參判)에 오름.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영구(宋英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으로, 성혼(成渾)의 문인. 광해군 때 《선조실록(宣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으로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 파직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송영업(宋榮業)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첨지사(僉知事) 송기(宋圻)의 아들이며, 간성 현감(杆城縣監) 송희업(宋熙業)의 동생으로, 찰방(察訪)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오유집(松塢遺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여응구(呂應龜)의 시문집. 1책. 목판본. 1845년(헌종 11) 10대손 여학조(呂學祖)와 여무성(呂武聖)이 편집ㆍ간행함. 권두에 유치명(柳致明)의 서문과 권말에 여무성의 발문이 있음.
184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옥(宋玉)@조선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서산(瑞山). 지평(持平) 송대립(宋大立)의 아버지로, 청홍도 우후(淸洪道虞候)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무신
-
송옥(宋玉)@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ㆍ대부. 굴원(屈原)의 제자로, 스승이 추방당하자 〈구변(九辨)〉과 〈초혼(招魂)〉을 지어 스승의 뜻을 나타냈으며, 중국 비추문학(悲秋文學)의 개조(開祖)로 알려짐.
B.C.290?~B.C.2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송요년(宋遙年)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1479년(성종 10)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냄.
1429~149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우(宋佑)
조선 전기의 유학. 심언광(沈彥光)의 《어촌집(漁村集)》에 그에 대한 이별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송원서원(松原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초계(草溪)에 건립한 서원. 안우(安遇)ㆍ노필(盧術)ㆍ안극가(安克家)ㆍ노극성(盧克誠)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남도 합천군(陜川郡)에 속함.
16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송원통감(宋元通鑑)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설응기(薛應旂)가 지은 송ㆍ원(宋元)에 대한 편년체 사서(史書). 157권. 상노(商輅) 등의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을 저본으로 하여, 송 나라 태조(太祖)부터 원 나라 순제(順帝)까지 480년간의 역사를 다룸. 《자치통감(資治通鑑)》의 속편으로 지음.
162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송원통감강목(宋元通鑒綱目)
중국 명(明) 나라 성화(成化) 연간에 유실(劉實)ㆍ상노(商輅) 등이 편찬한 역사서.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송유(宋愉)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신덕왕후(神德王后)가 붕어(崩御)한 뒤 위패가 태조묘(太祖廟)에 부(附)해지지 않자 이를 한탄하는 글을 올리고 낙향하여 회덕(懷德)에 쌍청당(雙淸堂)을 짓고 은거함.
1388~14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송유순(宋惟諄)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으로, 풍저창 주부(豊儲倉主簿) 송홍(宋泓)의 아들.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목천 현감(木川縣監)을 지냄.
155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유의(宋惟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송기(宋圻)의 아버지로,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유익(宋惟翊)
고려 전기의 문신. 여산송씨(礪山宋氏)의 시조로,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에 오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유충(宋有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서원군(西原君) 송훤(宋暄)의 아버지로,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청주군(淸州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송유충(宋有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서원군(西原君) 송훤(宋暄)의 아버지로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청주군(淸州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송은집(松隱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익(朴翊)의 시문집. 4권 1책. 목판본. 1839년(헌종 5)경 후손 박세신(朴世臣)에 의해 간행됨. 권두에 홍명주(洪命周)와 조두순(趙斗淳)의 서문, 권말에 이가순(李家淳)의 초간서가 있음.
183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