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송응개(宋應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좌참찬(左參贊) 송기수(宋麒壽)의 아들. 선조 때 동서분당(東西分黨) 이후 동인(東人)의 중진으로 활약하면서 허봉(許篈) 등과 함께 이이(李珥)를 탄핵하다 회령(會寧)에 유배됨.
1536~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응경(宋應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 송인수(宋麟壽)의 아들이며, 단양수(丹城守) 이진(李鎭)과 지퇴당(知退堂) 이정형(李廷馨)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송응기(宋應期)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귀수(宋龜壽)의 아들이며, 병조 좌랑(兵曹佐郞) 송방조(宋邦祚)와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 송갑조(宋甲祚)의 아버지로, 의빈부 도사(儀賓府都事)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응서(宋應瑞)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승사랑(承仕郞) 송세영(宋世英)의 아들이며, 신녕 현감(新寧縣監) 송이창(宋爾昌)의 아버지. 성제원(成悌元)의 문인으로, 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 등을 지냄.
1530~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송응창(宋應昌)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장군. 병부 우시랑(兵部右侍郞)ㆍ대사마(大司馬)를 지내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경략 군문(經略軍門)으로 임명되어 제독 군무(提督軍務) 이여송(李如松) 등과 명군(明軍) 4만여 명을 이끌고 참전함.
1536~160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송의(宋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야성(冶城). 송복기(宋福基)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무신
-
송의(宋義)
중국 진(秦) 나라 때의 장군. 초(楚) 회왕(懷王)의 상장군(上將軍)이 되었으나 항우(項羽)에게 살해당하고 멸족(滅族)까지 당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송이원귀반곡서(送李愿歸盤谷序)
중국 당(唐) 나라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한유(韓愈)의 문장. 사도(司徒) 이원(李愿)이 벼슬을 그만두고 반곡(盤谷)으로 돌아갈 때 한유가 지어 준 글로, 도통(道統)과 학(學)의 노정(路程)을 서술한 명문.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송이창(宋爾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은율 군수(殷栗郡守) 송응서(宋應瑞)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신녕 현감(新寧縣監)으로 재임 중에 칠서지옥(七庶之獄)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시주(詩酒)로 여생을 보냄.
1561~16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송익(宋翼)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서예가. 명필(名筆) 종요(鍾繇)의 제자로, 그의 글씨가 놀랜 뱀이 물을 통과하는 것(驚蛇透水)과 같았다고 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송익손(宋益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처남 홍달손(洪達孫)을 따라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세조(世祖) 때 나주 목사(羅州牧使)로 여산군(礪山君)에 봉해짐.
1419~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송익지(宋益祉)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그의 당호(堂號)에 대한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송익필(宋翼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교제하며 성리학과 예학(禮學)에 통달하였고, 문장에 뛰어나 선조대(宣祖代)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렸으며, 김장생(金長生)ㆍ김집(金集)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함.
1534~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송인(宋因)
고려 후기의 문신. 한양부 판관(漢陽府判官)에 제수되었으며, 효성이 지극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보성ㅣ경기도>과천 , 인명>관인>문신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송인(宋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동생. 고향인 담양(潭陽)에 제승정(濟勝亭)을 짓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문인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인충(宋仁忠)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간(宋侃)의 할아버지로, 중랑장(中郞將)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송일(宋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사성(司成) 송승희(宋承禧)의 아들로, 1595년(선조 2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7~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자강(宋自剛)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부사직(副司直) 송호례(宋好禮)ㆍ장령(掌令) 송호의(宋好義)ㆍ교리(校理) 송호지(宋好智)의 아버지로, 회양 부사(淮陽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