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송천유집(松川遺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양응정(梁應鼎)의 문집. 7권 3책. 목활자본. 1842년(헌종 8)에 9대손 양찬영(梁纘永)이 전라도 나주(羅州)에서 간행함.
184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문헌>서명
-
송천집(松川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천일(金千鎰)의 문집. 1901년(광무 5) 후손들의 주선으로 4권 2책 고활자본(古活字本)으로 간행됨.
190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송천희(宋千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경상도 관찰사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역임하였고, 중종 때 하성절사(賀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첨(宋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좌명공신(佐命功臣) 송거신(宋居信)의 아버지로,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춘경(宋春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낸 송명의(宋明誼)의 아버지로, 보성 군사(寶城郡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송치규(宋稚圭)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정묵(金正默)의 제자로, 일생을 벼슬을 사양하다가 말년에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강재집(剛齋集)》이 있음.
1759~183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탄집(松灘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정홍서(鄭弘緖)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태(宋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아버지로,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1475~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유학
-
송평(宋平)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천(鎭川). 만포 첨사(滿浦僉使)를 지낸 송복견(宋福堅)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유학
-
송하(宋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 송세증(宋世曾)의 아들로, 옥당(玉堂)과 승지(承旨)를 지냄.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학사전집(宋學士全集)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렴(宋濂)의 문집. 36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송학서원(松鶴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청송(靑松)에 건립한 서원. 이황(李滉)ㆍ김성일(金誠一)ㆍ장현광(張顯光)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유적>건물>서원,향교
-
송한필(宋翰弼)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형 송익필(宋翼弼)ㆍ송부필(宋富弼)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정통하여 이이(李珥)ㆍ박인로(朴仁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문사>학자
-
송해관(宋海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송순(宋純)의 아들로, 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송현(宋鉉)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송희규(宋希奎)의 아들로, 1556년(명종1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권지(成均館權知)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송현수(宋玹壽)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의 장인. 본관은 여산(礪山). 1457년(세조 3) 금성대군(錦城大君)이 사사된 뒤 주살(誅殺)됨.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송호례(宋好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1496년(연산군 2)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부사직(副司直) 등을 역임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관직이 삭탈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호시고(松湖詩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서예가ㆍ시인인 백진남(白振南)의 시문집. 1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호유고(松湖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허강(許橿)의 시문집. 1680년(숙종 6) 후손인 허목(許穆)이 필사본으로 엮은 시가집 《선조영언(先祖永言)》에 〈송호유고부록(松湖遺稿附錄)〉으로 시조 7수가 실려 있음.
168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송호의(宋好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지평(持平)ㆍ장령(掌令)을 역임하였으며, 이극돈(李克墩)의 추탈(追奪)을 주장하는 등 성품이 강직하였음.
?~151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