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송호지(宋好智)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구원을 요청하였다가 관직이 삭탈되었으나, 뒤에 복관됨.
1474~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호집(松湖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인 유언술(兪彦述)의 문집. 1832년(순조 32) 상주 목사(尙州牧使)로 있던 손자 유병주(兪秉柱)가 6권 3책 활자본으로 간행함.
18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송홍(宋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송유순(宋惟諄)의 아버지로, 풍저창 주부(豊儲倉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환기(宋煥箕)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5대손이며 송능상(宋能相)의 문인으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학덕을 겸비하여 조야의 존경을 받았으며, 시문집으로 《성담집(性潭集)》이 있음.
1728~180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회석(宋晦錫)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손자이자 송무원(宋婺源)의 아버지. 《송자대전(宋子大全)》에 송시열이 지은 〈제오손회석묘표(第五孫晦錫墓表)〉가 실려 있음.
1658~168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송흠(宋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판중추부사 겸 지경연사(判中樞府事兼知經筵事) 등을 역임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59~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송희경(宋希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고, 회례사(回禮使)가 되어 일본(日本)을 왕래함.
1376~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송희규(宋希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이언적(李彦迪)과 교유하였으며, 윤임(尹任)을 옹호하고 윤원형(尹元衡)의 전횡을 탄핵하였음.
1494~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송희업(宋熙業)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의 증손이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송기(宋圻)의 아들로, 간성 현감(杆城縣監)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송희원(宋希遠)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임천 군수(林川郡守)를 지낸 송남수(宋柟壽)의 아들로, 율봉도 찰방(栗峯道察訪) 등을 지냄.
1565~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수(垂)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 순 임금의 공공(共工)이 되어 활과 화살을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수(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 이어지는 통일 왕조. 양견(楊堅)이 북주(北周)의 정제(靜帝)로부터 양위를 받아 건국하였으며, 3대 38년간 존속.
581~618 중국>수 , 중국 , 시간>국명
-
수^명(壽^銘)
조선 선조(宣祖) 때의 어의(御醫)인 양예수(楊禮壽)와 손사명(孫士銘)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의 공저로 《의림촬요(醫林撮要)》가 있음.
한국>조선시대 , 사상>술어>관용어
-
수간(守侃)
조선 중종(中宗) 때의 승려. 고봉(孤峯) 김정(金淨)과 동년생(同年生)으로 금강산 유점사(楡岾寺)에 있을 때 서로 교유하였음.
148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수강사(壽岡祠)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영광(靈光)에 건립한 사당. 송흠(宋欽)ㆍ이만영(李萬榮)ㆍ이장영(李長榮) 등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유적>건물>사당
-
수경주(水經注)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이(劉彛)가 지은 책. 중국의 하천지(河川誌)인 《수경(水經)》에 대한 주석서. 4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수계집(須溪集)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시인인 유진옹(劉辰翁)의 문집. 10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수도군(守道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일곱 번째 서자. 숙의윤씨(淑儀尹氏)의 소생으로, 관직을 삭존(削尊)당한 뒤 사후에 신원되어 영종정경(領宗正卿)의 벼슬과 군(君)에 추봉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수도산(修道山)
경상북도 김천(金泉)과 경상남도 거창(居昌)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숙종(肅宗)의 비(妃)인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원당(願堂)인 청암사(靑巖寺)가 있음.
경상도>금산 , 지명>자연지명
-
수도암(修道庵)
통일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수도산(修道山) 정상 부근에 도선국사(道詵國師)의 수도 도량으로 창건한 사찰. 현재 경상북도 김천시(金泉市)에 속함.
859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거창 , 유적>건물>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