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수락산(水落山)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산. 사적으로 쌍암사(雙岩寺)ㆍ석림사(石林寺)ㆍ계림암(鷄林庵)ㆍ흥국사(興國寺) 등이 있음. 지금은 서울시 노원구(蘆原區), 경기도 의정부시(議政府市)ㆍ남양주시(南楊州市)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수렴천(水簾泉)
중국 강서성(江西省) 여산(廬山)의 강왕곡(康王谷)에 있는 샘 이름. 당(唐) 나라 육우(陸羽)가 천하제일천(天下第一泉)이라고 품평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수령궁주(壽寧宮主)
고려 제22대 강종(康宗)의 딸. 1212년(강종 1) 하원공(河源公) 왕춘(王瑃)에게 출가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공주
-
수령옹주(壽寧翁主)
고려 후기의 옹주(翁主). 본관은 경주(慶州). 밀직승지(密直承旨) 김신(金信)의 딸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에게 출가함.
1281~133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수로왕(首露王)
금관가야(金官伽倻)의 시조. 재위 42~199.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하여 국가의 기틀을 확립함. 《삼국유사(三國遺事)》〈가락국기(駕洛國記)〉에 탄생과 치적에 관한 기사가 전함. 김해김씨(金海金氏)의 시조.
?~199 한국>가야 , 경상도>김해 , 인명>왕실>국왕
-
수린(秀藺)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때의 승려. 1465년(세조 11) 조선에 와서 세조(世祖)에게 받은 서계(書契)ㆍ예폐(禮幣)를 가지고 돌아가 왜왕(倭王)에게 전달함.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수몽(壽夢)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 제19대 제후. 재위 B.C.585~B.C.560. 넷째 아들인 계찰(季札)을 어질게 여겨 왕위를 물려주려 하였으나 적자(適子)가 왕위를 이어야 한다며 계찰이 사양하여 제번(諸樊)에게 왕위를 물려줌.
?~B.C.5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수몽집(守夢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정엽(鄭曄)의 문집. 1661년(현종 2) 해주 목사(海州牧使)로 있던 외손 나성두(羅星斗)가 8권 2책 목판으로 간행함.
166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수백재유고(守白齋遺稿)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인 홍주익(洪柱翼)의 문집. 40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수범(修梵)
통일신라 성덕왕(聖德王) 때 아미타불(阿彌陀佛)로 화현한 승려 달달박박(怛怛朴朴)의 아버지.
한국>통일신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수봉(琇峯)
고려 우왕(禑王) 때의 승려. 나옹화상(懶翁和尙) 혜근(惠勤)의 문도로, 승려 무급(無及)과 함께 해인사(海印寺)에 가서 대장경(大藏經)을 인경(印經)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수서(隋書)
중국 수(隋) 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정사(正史). 당(唐) 나라의 장손무기(長孫無忌)ㆍ위징(魏徵)ㆍ공영달(孔穎達) 등이 칙명으로 편찬함. 제기(帝紀) 5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0권으로, 총 85권.
636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수서집(水西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박선장(朴善長)의 문집. 1810년(순조 10) 현손 박제안(朴齊顔) 등이 4권 2책으로 간행함.
181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수선사(修禪社)
고려 명종(明宗) 때의 승려인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이 결성한 신앙결사단체, 혹은 그 사찰. 1190년(명종 20) 경상도 대구(大丘) 공산(公山) 거조사(居祖社)에서 정혜사(定慧社)라는 명칭으로 결성하였으며, 이후 조계산(曹溪山)으로 옮기고 수선사로 개칭함.
119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사찰ㅣ인명>집단>조직
-
수성(水星)
초저녁의 서쪽 하늘 혹은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 잠깐 동안만 보이는 별 이름. 오성(五星) 가운데 북방(西方)을 상징하며, 겨울ㆍ흑색(黑色) 등에 해당함.
자연물>천체
-
수성지(愁城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임제(林悌)가 지은 한문 단편소설. 인간의 심정인 천군(天君)이 수기(愁氣) 가득한 수성(愁城)을 술로 공격하여 물리쳐 이상국을 건설한다는 내용. 《임백호집(林白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수승대(搜勝臺)
경상도 거창(居昌) 위천면(渭川面)에 있는 누대(樓臺). 원래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백제에서 신라로 보내는 사신을 송별하던 곳으로, 조선 중종(中宗) 때 이황(李滉)이 개명을 권하여 ‘수승대’로 바꿈.
한국>백제 , 경상도>거창 , 유적>건물>누정
-
수신기(搜神記)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ㆍ학자인 간보(干寶)가 지은 지괴소설집(志怪小說集). 본래는 30권이었으나, 당(唐) 나라 때 흩어져 있던 것을 모아서 다시 편집하여 현재는 20권이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수신대(隨身臺)
전라도 광산(光山)의 무등산(無等山) 정상 부근에 있는 바위 이름.
전라도>광산 , 지명>자연지명
-
수안(遂安)
황해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몽고군(蒙古軍)과 거란군(契丹軍)에게 자주 침략을 당한 고을 중의 하나.
황해도>수안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