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수암(睡菴)
고려 후기의 승려. 해인사(海印寺)에서 대장경(大藏經)을 인경할 때 이숭인(李崇仁)이 지어 준 시가 《도은집(陶隱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수암유고(守庵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박지화(朴枝華)의 문집. 1684년(숙종 10) 용강 현령(龍岡縣令) 김구(金構)가 2권 1책 목판으로 간행함.
168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문헌>서명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수양산(首陽山)
황해도 해주(海州)와 벽성(碧城)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황해도>해주 , 지명>자연지명
-
수양산성(首陽山城)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황해도 해주(海州)의 수양산(首陽山)에 쌓은 산성 이름. 1674년(숙종 2)에 수축함. 고죽군(孤竹君)의 옛 터가 있다는 전설이 전함.
762 한국>통일신라 , 황해도>해주 , 유적>시설>성,진,책
-
수양자집(睢陽子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손복(孫復)의 문집. 1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수옥집(漱玉集)
중국 송(宋) 나라의 여류 문인인 이청조(李淸照)의 문집.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수옹일기(睡翁日記)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송갑조(宋甲祚)가 쓴 일기. 1624년(인조 2)부터 1628년(인조 6)까지의 내란ㆍ외침 등 중요한 변란이 수록됨. 1800년(정조 24)에 5대손 송구상(宋龜相)이 2권 2책으로 편집하고 송환학(宋煥學)이 개간함.
180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수우(豎牛)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대부인 숙손표(叔孫豹)의 가신(家臣). 숙손표의 서자인 숙손야(叔孫婼)에게 적통을 잇게 하였으나 숙손야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수원(水原)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능(陵)이 수원 읍치의 진산인 화산(華山)에 있음.
경기도>수원 , 지명>행정지명
-
수원백씨(水原白氏)
중국 당(唐) 나라에서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내고 신라로 온 송계공(松溪公) 백우경(白宇經)을 시조로 하고,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백창직(白昌稷)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수원 , 인명>집단>성씨
-
수윤(守允)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때의 승려. 조선에 있을 때 이행(李行)이 소를 타고 노닐던 모습을 담은 〈월하기우도(月下騎牛圖)〉를 그렸는데, 권근(權近)이 기우도(騎牛圖)에 대한 시를 지어줌.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수은(袖隱)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수은집(睡隱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강항(姜沆)의 문집. 1658년(효종 9) 금구 현령(金溝縣令)으로 있던 문인 윤순거(尹舜擧)에 의해 4권 4책 목판으로 간행됨.
165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구 , 문헌>서명
-
수재집(睡齋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유인귀(柳仁貴)의 문집.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수조(豎刁)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 때의 환관. 환공(桓公)이 죽은 뒤 역아(易牙)ㆍ개방(開方) 등과 함께 제(齊) 나라를 혼란에 빠뜨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수주대토(守株待兎)
나무의 그루터기를 지켜보며 토끼가 나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융통성 없이 어리석고 완고함을 비유함. 《한비자(韓非子)》 〈오두편(五蠹篇)〉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수징(水澄)
조선 전기의 승려. 신응시(辛應時)ㆍ백광훈(白光勳) 등과 시(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종교인>승려
-
수춘군(壽春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섯째 서자. 어머니는 혜빈양씨(惠嬪楊氏)이고 1437년(세종 19) 수춘군(壽春君)에 봉해졌으나 일찍 죽음.
1431~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수충사(酬忠祠)
조선 정조(正祖) 때 휴정(休靜)의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묘향산(妙香山)에 건립한 사우(祠宇). 1794년(정조 18)에 수충사라는 현판을 하사받음. 휴정(休靜)ㆍ유정(惟政) 등을 제향함.
179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유적>건물>사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