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숙경옹주(淑慶翁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아홉 번째 서녀(庶女). 어머니는 신빈신씨(信嬪辛氏). 파평군(坡平君) 윤암(尹巖)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숙근옹주(淑謹翁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열두 번째 서녀(庶女). 어머니는 신빈신씨(信嬪辛氏). 화천군(花川君) 권공(權恭)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숙녕궁주(肅寧宮主)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첫째 딸. 순비노씨(順妃盧氏)의 소생으로, 익천군(益川君) 왕즙(王緝)과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공주
-
숙량흘(叔梁紇)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안징재(顔徵在)와 야합(野合)하여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인 공자(孔子)를 낳음. 계성사(啓聖祠)에서 제향함.
?~B.C.54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손교여(叔孫僑如)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선공(宣公)의 부인인 목강(繆姜)과 통정(通情)하고 나라를 혼란하게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손무숙(叔孫武叔)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大夫). 자공(子貢)이 공자(孔子)보다 훌륭하다고 평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손씨(叔孫氏)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공족(公族). 맹손씨(孟孫氏)ㆍ계손씨(季孫氏)와 함께 노 나라의 세 공족 중 하나. 환공(桓公)의 아들인 숙아(叔牙)의 후손으로, 대대로 대부의 벼슬을 계승하고 노 나라의 국정을 농단(弄斷)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성씨
-
숙손야(叔孫婼)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숙손표(叔孫豹)의 서자(庶子). 가신(家臣) 수우(豎牛)에 의해 적통을 계승하였으나 난역지죄(亂逆之罪)를 물어 수우를 주벌함.
?~B.C.5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손통(叔孫通)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문신. 한(漢) 고조(高祖) 때 조의(朝儀)를 제정하였으며, 혜제(惠帝) 때 종묘(宗廟) 등의 의법(儀法)을 정하고 태자 태부(太子太傅)를 지냈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손표(叔孫豹)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가신(家臣) 수우(豎牛)의 농간으로 서자(庶子)인 숙손야(叔孫婼)에게 적통을 물려주었으며, 병이 들자 수우에 의해 아사(餓死)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순옹주(淑順翁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열세 번째 서녀(庶女). 어머니는 덕숙옹주 이씨(德淑翁主李氏). 파원위(坡原尉) 윤평(尹泙)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숙아(叔牙)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장공(莊公)의 이복동생. 장공이 아들인 반(般)을 태자로 삼으려 할 때 형 경보(慶父)를 지지하였으므로 아우인 계우(季友)에게 독살당함.
?~B.C.66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숙용심씨(淑容沈氏)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후궁. 이성군(利城君)ㆍ영산군(寧山君)ㆍ경순옹주(慶順翁主)ㆍ숙혜옹주(淑惠翁主) 등 2남 2녀를 낳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숙의이씨(淑儀李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본관은 경주(慶州).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이형신(李亨臣)의 딸로,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를 낳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숙정공주(淑靜公主)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다섯째 딸. 어머니는 인선왕후(仁宣王后).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숙정문(肅靖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서울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북쪽 성문. 경복궁(景福宮)의 주산(主山)인 백악산(白岳山) 동쪽 고개에 위치하며, 풍수설에 의해 항상 닫혀 있어서 이를 대신하여 창의문(彰義門)을 흔히 북문(北門)으로 부름.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숙정옹주(淑貞翁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넷째 서녀(庶女). 어머니는 신빈신씨(信嬪辛氏). 일성군(日城君) 정효전(鄭孝全)과 혼인함.
?~14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숙제(叔齊)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를 치려할 때 형 백이(伯夷)와 함께 말리다가 듣지 않자, 주에서 나는 곡식을 먹는 것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왕자
-
숙종(肅宗)@고려
고려 제15대 국왕. 재위 1095~1105. 조카인 헌종(獻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한 뒤 이자의(李資義)가 거사하자 그를 주살하고 선위(禪位)를 받아 왕위에 오름.
1054~110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숙종(肅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7대 국왕. 재위 756~762.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진압하는데 주력했지만 병으로 재위 7년 만에 사망함.
71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