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숙종(肅宗)@고려
고려 제15대 국왕. 재위 1095~1105. 조카인 헌종(獻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한 뒤 이자의(李資義)가 거사하자 그를 주살하고 선위(禪位)를 받아 왕위에 오름.
1054~110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숙종(肅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7대 국왕. 재위 756~762.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진압하는데 주력했지만 병으로 재위 7년 만에 사망함.
71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숙종(肅宗)@조선
조선 제19대 국왕. 재위 1674~1720. 절정에 달한 붕당정치(朋黨政治) 속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민생안정책의 시행에 주력함.
1661~17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숙천(肅川)
평안도 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평안도>숙천 , 지명>행정지명
-
숙혜옹주(淑惠翁主)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여섯째 서녀(庶女). 어머니는 소빈노씨(昭嬪盧氏). 성원위(星原尉) 이정녕(李正寧)과 혼인함.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공주
-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중국 송(宋) 나라의 진백(陳栢)이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해 지은 글. 208자(字)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과 서로 표리(表裏)를 이룸.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숙흥야매잠주해(夙興夜寐箴註解)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이 중국 송(宋) 나라 진백(陳栢)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주해한 책.
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도 , 문헌>서명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순^문(舜^文)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인 순(舜) 임금과 주(周) 나라를 창건한 무왕(武王)의 아버지인 문왕(文王)을 함께 부르는 말. 성군(聖君)을 가리킴.
중국>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순^배(荀^裵)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인 순유(荀攸)와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배수(裵秀)를 함께 부르는 말. 건국에 공이 있는 모사(謀士)를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순^소(淳^紹)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 연호의 하나인 순희(淳熙)와 광종(光宗) 때의 연호인 소희(紹熙)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송 , 중국 , 시간>기타시간
-
순^양(荀^揚)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인 순황(荀況)과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인 양웅(揚雄)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전한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순^양(荀^楊)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인 순황(荀況)과 위(魏) 나라의 학자인 양주(楊朱)를 함께 부르는 말. 정통 유학자들에게 이단시되는 유학자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순^진(順^珍)
전라남도에 있는 순천(順天)과 진도(珍島)를 함께 부르는 말.
전라도>진도ㅣ전라도>순천 , 지명>기타지명
-
순^척(舜^跖)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인 순(舜)과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도둑인 도척(盜跖)을 함께 부르는 말. 선인(善人)과 악인(惡人)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순^철(淳^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순(朴淳)과 정철(鄭澈)을 함께 부르는 말. 서인(西人)의 대표 인물들로, 절친하며 절개가 곧은 학자들로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순^혼(淳^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순(朴淳)과 성혼(成渾)을 함께 부르는 말. 당파를 같이한 절친한 사이로 절개가 곧은 학자들로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순^혼^철(淳^渾^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순(朴淳)ㆍ성혼(成渾)ㆍ정철(鄭澈)을 함께 부르는 말. 절친한 사이로 절개가 곧은 학자들로 유명하며, 같은 당파에 속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순^황(純^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민순(閔純)과 최황(崔滉)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시대 , 황해도>해주ㅣ경기도>여주 , 사상>술어>관용어
-
순경태후(順敬太后)
고려 제24대 원종(元宗)의 비. 성은 김(金)이며, 본관은 경주(慶州). 장익공(莊翼公) 김약선(金若先)의 딸. 충렬왕(忠烈王)의 어머니.
?~123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