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순비허씨(順妃許氏)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제6비. 공암허씨(孔巖許氏)로 첨의중찬(僉議中贊) 허공(許珙)의 딸. 평양공(平陽公) 왕현(王眩)에게 출가하여 3남 4녀를 낳고 사별한 후, 충선왕에게 재가함. 충선왕과의 사이에는 자녀가 없음.
1271~133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순상(荀爽)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12세에 《춘추(春秋)》와 《논어(論語)》에 정통한 영재로, 순가팔룡(荀家八龍) 중에서도 가장 명성이 높았음.
128~19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숙(荀淑)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환제(桓帝) 때의 문신. 순제 사망 후 전횡을 휘두른 외척 양기(梁冀)를 비난하다 지방으로 좌천되었고, 낭릉후(朗陵侯)의 재상이 되었을 때 일을 명쾌하게 처리하여 신군(神君)이라는 칭호를 얻음.
83~1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씨팔룡(荀氏八龍)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인 순숙(荀淑)의 여덟 명의 아들, 순검(荀儉)ㆍ순곤(荀緄)ㆍ순정(荀靖)ㆍ순도(荀燾)ㆍ순왕(荀汪)ㆍ순상(荀爽)ㆍ순숙(荀肅)ㆍ순전(荀專)이 모두 훌륭했기 때문에 함께 부르는 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순암(珣巖)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순암집(順菴集)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정복(安鼎福)의 문집. 1900년 저자의 후손인 안종엽(安鍾曄)이 활자본으로 간행함. 15책.
1900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순언(荀偃)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난서(欒書)와 함께 여공(厲公)을 시해하고 망명해 있던 도공(悼公)을 영립(迎立)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순오지(旬五志)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만종(洪萬宗)이 지은 문학평론집. 정철(鄭澈)ㆍ송순(宋純) 등의 시가(詩歌), 속담, 한국의 역사, 유ㆍ불ㆍ선에 관한 일화,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대한 견해, 속자(俗字)에 대한 기술 등 다양한 내용을 실음. 2권 1책. 필사본.
167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순우곤(淳于髡)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변사(辯士). 학문이 깊고 넓어 섭렵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며, 초(楚) 나라가 제 나라를 치려 할 때 조왕(趙王)을 설복(說服)해 정병(精兵) 십만을 얻어서 위기를 모면함.
B.C.386~B.C.31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순우분(淳于棼)
중국 당(唐) 나라의 정의중(程毅中)이 지은 소설 《이문집(異聞集)》에 등장하는 주인공 이름. 남가일몽(南柯一夢)의 고사(故事)로 잘 알려진 인물.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순우의(淳于意)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명의(名醫). 공손광(公孫光)과 공승양경(公乘陽慶)의 문인으로, 태창장(太倉長)을 지내고 의술에 정통함. 죄를 지어 사형을 당하게 되었을 때 딸 제영(緹縈)의 호소로 처벌을 면함.
B.C.215~B.C.15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순욱(荀彧)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순가팔룡(荀家八龍) 중 한 명인 순곤(荀緄)의 아들로 조조(曹操)를 도와 패업을 이룩하였으나, 위왕(魏王)이 되려는 조조의 속셈을 반대하다가 미움을 사 자결함.
163~21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유(荀攸)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순욱(荀彧)의 조카. 지모(智謀)와 정략(政略)이 뛰어나 조조(曹操)의 모사(謀士)로서 많은 공을 세우고, 군사(軍師)ㆍ상서령(尙書令)을 지냄.
157~21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자(荀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인 순황(荀況)의 사상서. 20권. 예치주의(禮治主義)를 강조하고, 성악설(性惡說)을 담고 있어 유자(儒者)들의 비판을 받음. 후에 한비자(韓非子) 등이 계승하여 법가(法家) 사상을 낳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순자강(鶉子江)
전라남도 곡성(谷城)에 있는 강. 섬진강(蟾津江)의 상류로 자연 경관이 빼어남.
전라도>곡성 , 지명>자연지명
-
순재고(純齋稿)
조선 제23대 순조(純祖)의 시문집. 20권 10책. 서문과 발문이 없음. 순조 연간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에 관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임금의 문집이라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있음.
183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순제(順帝)@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1대 마지막 황제. 재위 1333~1370. 한 문화(漢文化)를 존중해 원 문화의 최성기(最盛期)를 이루었으나, 정치적ㆍ재정적 실책과 연속적인 천재지변으로 인해 주원장(朱元璋)에게 패망함.
1320~137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순제(順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7대 황제. 재위 125~144. 재위기간에 외척인 양기(梁冀) 등으로 인해 내정이 문란하고, 천재지변의 속출로 사회가 혼란해짐.
?~14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순조(純祖)
조선 제23대 국왕. 재위 1800~1834. 형인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일찍 죽어 1800년(정조 24) 왕세자에 책봉되고 즉위했으나, 홍경래(洪景來)의 난과 외척세력의 견제로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킴.
1790~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