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순조(順祖)
중국 송(宋) 나라의 추존 황제. 송 태조(太祖) 조광윤(趙匡胤) 증조부로, 부인은 혜명황후(惠明皇后) 상씨(桑氏).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순종(順宗)@고려
고려 제12대 국왕. 재위 1083~1083. 1054년(문종 8) 왕태자(王太子)에 책봉되고, 문종(文宗)이 죽자 즉위하나 그해에 죽음.
1046~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순종(順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10대 황제. 재위 805~805. 병중에 즉위하여 8개월간 재위했지만, 간신과 환관들이 권세를 농간하여 왕실이 위태롭게 되자 아들 헌종(憲宗)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음.
761~8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순종(順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追尊皇帝). 제9대 황제인 무종(武宗)의 아버지로, 1307년에 추존 황제가 됨.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순창(淳昌)
전라북도의 남부 노령산맥(蘆嶺山脈)의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구암사(龜巖寺)와 강천사(剛泉寺) 등의 사찰이 있음.
전라도>순창 , 지명>행정지명
-
순창설씨(淳昌薛氏)
초기 신라의 육촌(六村) 중 명활산(明活山) 고야촌(高耶村)의 촌장인 설거백(薛居伯)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적(原籍)은 경주(慶州)인데, 고려시대에 순창(淳昌)으로 이관(移貫)함.
한국>신라 , 전라도>순창ㅣ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순창조씨(淳昌趙氏)
고려시대에 순창(淳昌)의 호장(戶長)을 지낸 조자장(趙子長)을 시조로 하는 성씨. 5세손 조인평(趙仁平)에서부터 순창을 본관으로 삼음.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순창 , 인명>집단>성씨
-
순천(順天)
전라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세조(世祖) 때 편제된 진관(鎭管) 체제에 따라 주진(主鎭)으로서 전라도 동남부 지역의 중심지가 됨.
전라도>순천 , 지명>행정지명
-
순천(順川)
평안남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안국사(安國寺)ㆍ자모산성(慈母山城)ㆍ이성(泥城) 등의 사적이 있음.
평안도>순천 , 지명>행정지명
-
순천김씨(順天金氏)
통일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평양군(平陽君)에 봉해진 김총(金摠)을 시조로 하는 성씨. 조선 단종(端宗) 때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김종서(金宗瑞)가 화를 입어 멸문지화(滅門之禍)를 당함. 김윤인(金允仁)과 김대영(金臺泳)을 중시조로 하는 두 파가 있음.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순천 , 인명>집단>성씨
-
순천박씨(順天朴氏)
고려의 개국공신 박영규(朴英規)를 시조로 하고 대제학(大提學) 박숙정(朴淑貞)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대표적인 인물로 박팽년(朴彭年)ㆍ박원종(朴元宗)ㆍ박이장(朴而章) 등이 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집단>성씨
-
순평군(順平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두 번째 서자. 숙의기씨(淑儀奇氏)의 소생으로, 설존(薛存)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순화군(順和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여섯 번째 서자. 순빈김씨(順嬪金氏)의 소생으로, 임진왜란 때 왜군에게 포로로 붙잡혔다 풀려났으며, 사람을 함부로 죽이고 재물을 약탈하는 등 불법을 저질러 양사(兩司)의 탄핵을 받음.
1580~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순황(荀況)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해 유자(儒者)들의 비판을 받았고, 강력한 예치주의(禮治主義)를 주장함.
B.C.298~B.C.23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순회세자(順懷世子)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외아들.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소생으로, 7살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3살의 나이로 요절함.
1551~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순흥(順興)
경상도 영천(榮川)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초기에는 도호부(都護府)였으나, 세조(世祖) 때 부사(府使) 이보흠(李甫欽)이 단종복위사건에 연루되어 폐부됨.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쌍경당(雙鏡堂)
경상도 밀양(密陽) 용평동(龍平洞)에 있는 당우(堂宇) 이름. 조선 중종(中宗) 때 이태(李迨)가 건립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원됨.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누정
-
쌍계루(雙溪樓)
전라도 장성(長城) 백암사(白巖寺) 내에 있는 교루(橋樓). 1377년(우왕 3)에 승려 징공(澄公)이 중수(重修)한 적이 있고, 정도전(鄭道傳)ㆍ이색(李穡) 등이 지은 기문(記文)이 전함.
전라도>장성 , 유적>건물>누정
-
쌍계사(雙磎寺)
통일신라 문성왕 2년에 진감선사(眞鑒禪師) 혜소(慧昭)가 경상도 하동(河東)에 창건한 사찰. 경내에 국보 진감선사대공탑비(眞鑑禪師大空塔碑) 등의 문화재가 전함.
840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하동 , 유적>건물>사찰
-
쌍계집(雙溪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왕염(王炎)의 문집. 27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