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쌍기(雙冀)
고려 광종(光宗) 때 중국 후주(後周)에서 귀화한 인물. 956년(광종 7)에 귀화하여 원보 한림학사(元補翰林學士) 등을 지내고, 958년(광종 9)에 당(唐) 나라의 관리임용제도를 따라 과거제도를 창설함.
한국>고려전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쌍당집(雙塘集)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인 권홍(權弘)의 문집. 문학에 뛰어났던 저자의 시문이 수록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쌍매당협장집(雙梅堂篋藏集)
고려 말~조선 초의 학자인 이첨(李詹)의 시문집. 25권. 활자본. 아들 이소축(李少畜)이 편집ㆍ간행함. 원본은 극히 희귀하여 현재 일부만 전해짐.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쌍봉유고(雙峰遺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소세검(蘇世儉)의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1935년 후손 소학규(蘇學奎)ㆍ소진문(蘇鎭文) 등이 편집ㆍ간행함.
1935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쌍석불(雙石佛)
고려시대에 경기도 파주(坡州)의 용암사(龍巖寺)에 조성한 석불입상(石佛立像). 고려 선종(宣宗)의 비(妃)인 원신궁주(元信宮主)가 이 석불을 조성한 후 아들을 낳았다 하여 기도처로 널리 알려짐.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유적>기타유적
-
쌍성(雙城)
함경도 영흥(永興)에 있는 성. 1258년 원(元) 나라가 이곳에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를 설치하고 100여 년간 고려 정무에 간섭함. 1356년(공민왕 5) 유인우(柳仁雨)와 이자춘(李子春)을 보내 탈환함.
함경도>영흥 , 유적>시설>성,진,책
-
쌍성호(雙成湖)
강원도 양양(襄陽) 북쪽 간성(杆城) 경계에 있는 호수 이름. 속초(束草)에서 바다로 나가는 지리적인 특수성으로 인해 만호영(萬戶營)을 설치하여 병선(兵船)을 정박시켰으며, 《택리지(擇里志)》에서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꼽을 정도로 호수 경치가 훌륭함.
강원도>양양 , 지명>자연지명
-
쌍순(雙淳)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1558년(명종 13) 선과(禪科)에 급제하였으며, 시(詩)에 능하여 신응시(辛應時)ㆍ고경명(高敬命)ㆍ윤근수(尹根壽) 등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쌍천서원(雙泉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청주(淸州)에 건립한 서원.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식(申湜)을 배향함.
169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쌍청루(雙淸樓)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인 박흥생(朴興生)이 충청도 영동(永同)에 지은 누정. 박흥생은 부친의 상을 당한 후 관직을 사임하고 귀향하여 이 누정을 지은 뒤 여생을 보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유적>건물>누정
-
아^묵(阿^墨)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고을인 아(阿) 고을과 즉묵(卽墨) 고을을 함께 부르는 말. 담당 수령의 선정(善政) 여부에 따라 잘 다스려지고 그렇지 못한 고을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아^민(峨^岷)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아미산(峨眉山)과 민산(岷山)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산이 모두 높고 우뚝하여 곧은 절개와 뛰어난 자질을 표현할 때 비유하는 말로 쓰임.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아^포(牙^抱)
충청도 아산(牙山)과 경기도 포천(抱川)을 함께 부르는 말.
충청도>아산ㅣ경기도>포천 , 지명>기타지명
-
아계유고(鵝溪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산해(李山海)의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기성록(箕城錄)〉ㆍ〈종현록(鍾峴錄)〉ㆍ〈쌍문록(雙門錄)〉 등으로 구성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
신라 제8대 왕. 재위 154~184. 최초로 감물(甘勿)ㆍ마산(馬山)의 두 현을 두었고, 계립령(鷄立嶺)ㆍ죽령(竹嶺)의 길을 개척함.
?~18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아라불화(阿羅不花)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이지란(李之蘭)의 아버지. 여진의 금패천호(金牌千戶).
중국>원 , 인명>관인>무신
-
아라한(阿羅漢)
불교에서 열반(涅槃) 또는 깨달음에 이른 성자(聖者)를 가리키는 말. 원래는 석가(釋迦)의 가까운 제자 16명을 지칭하였으나 뒤에는 500명까지 늘어났으며, 후대에는 개인적인 깨달음에 만족한 소승(小乘)의 수행자들을 가리키기도 함.
사상>술어>핵심어
-
아랄첩목아(阿剌帖木兒)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이효신(李孝臣)의 장남. 원(元) 나라 조정에서 벼슬하여 연안군(延安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아미산(峨眉山)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산 이름. 청량산(淸凉山)ㆍ보타산(普陀山)과 함께 중국 불교의 3대 영산(靈山)으로 숭상됨. 미인의 아름다운 눈썹처럼 산세가 수려하여 이백(李白) 등 여러 문인들의 시문(詩文)에 자주 인용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아방궁(阿房宮)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장안(長安) 서쪽에 세운 궁전 이름. 진을 정복한 항우(項羽)에 의해 전소되었는데, 석 달에 걸쳐 불탔다고 함. 호화로움의 극치를 상징함.
B.C.212~B.C.206 중국>진 , 중국 , 유적>건물>궁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