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악의(樂毅)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무신. 악양(樂羊)의 후손으로, 소왕(昭王)의 아경(亞卿)이 되고 상장군(上將軍)에 제수되어 연(燕)ㆍ조(趙)ㆍ초(楚)ㆍ한(韓)ㆍ위(魏) 다섯 나라의 군사를 이끌고 제(齊) 나라의 70여 성을 함락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악의론(樂毅論)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하후현(夏侯玄)이 연(燕) 나라의 명장 악의(樂毅)에 대해 쓴 글. 이것을 동진(東晉)의 왕희지(王羲之)가 해서(楷書)로 써서 유명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악장가사(樂章歌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박준(朴浚)이 편찬하였다고 전하는 가집(歌集). 목활자본. 현전하는 가집 중 악장(樂章)과 속악가사(俗樂歌詞)를 엮은 순수 가집으로는 가장 오래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악재집(樂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서사원(徐思遠)의 문집. 주자학(朱子學)에 밝았던 저자의 시문을 수록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악정자춘(樂正子春)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ㆍ효자. 증삼(曾參)의 문인(門人)으로, 효성이 지극하여 모친상을 당하자 5일 동안 음식을 먹지 않았고, 당(堂)을 내려가다 발을 다치자 효심을 망각한 것이라 하여 수개월 동안 두문불출하며 근심하였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
-
악정집(樂靜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이소기(李昭玘)의 시문집. 총 3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악학궤범(樂學軌範)
조선 성종(成宗) 때 왕명(王命)에 의해 성현(成俔)ㆍ신말평(申末平)ㆍ유자광(柳子光) 등이 편찬한 악서(樂書). 9권 3책. 조선시대 음악의 지침서.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악후(鄂侯)
중국 은(殷) 나라 주왕(紂王) 때의 문신. 구후(九侯)ㆍ서백(西伯)과 함께 ‘삼공(三公)’이라 불리고, 주왕이 구후를 죽이자 강력히 간하다가 죽임을 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계(顔^季)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계유(季由) 중유(仲由)를 함께 부르는 말. 공자(孔子)의 뛰어난 제자로 꼽힘.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공^맹(顔^孔^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공자(孔子), 추(鄒) 나라의 맹자(孟子)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儒敎)의 대표적인 성현(聖賢).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맹(顔^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안회(顔回)와 추(鄒) 나라의 맹자(孟子)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儒敎)의 성현(聖賢)으로 꼽힘.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민(顔^閔)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민손(閔損)을 함께 부르는 말.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에 속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변(顔^卞)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안고경(顔杲卿)과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변곤(卞壼)을 함께 부르는 말. 반란군과 싸우다 순절함.
중국>당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사(顔^謝)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시인인 안연지(顔延之)와 사영운(謝靈運)을 함께 부르는 말. 시와 문장이 뛰어나 쌍벽을 이룸.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염(顔^冉)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염경(冉耕)을 함께 부르는 말. 공문십철(孔門十哲)에 속했으나, 모두 요절(夭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우(顔^禹)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하(夏) 나라의 왕인 우(禹)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우(顔^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중국 고대 황제인 순(舜)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유(顔^柳)
중국 당(唐) 나라의 서예가인 안진경(顔眞卿)과 유공권(柳公權)을 함께 부르는 말. 안진경의 글씨에는 살이 많은 반면 유공권의 글씨에는 뼈가 많아, 세간에서 안유(顔柳)라 함께 불리며 주목을 받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장(顔^張)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인 안고경(顔杲卿)과 장순(張巡)을 함께 부르는 말.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맞서 싸우다가 순절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장^이(晏^臧^李)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인 안영(晏嬰)과 노(魯) 나라의 대부인 장손진(臧孫辰), 당(唐) 나라의 재상인 이필(李泌)을 함께 부르는 말. 훌륭한 재상이었으나 공자(公子)나 유하혜(柳下惠), 육지(陸贄)와 같은 인재를 알아보지 못함.
중국>당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