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증(顔^曾)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안회(顔回)와 증삼(曾參)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견(安堅)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화가. 본관은 지곡(池谷). 안평대군(安平大君)의 후원을 받았으며,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그림. 산수화에 뛰어나 곽희파(郭熙派) 화풍을 토대로 한국적인 화풍을 완성하며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수묵화에까지 영향을 미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안경(安慶)
중국 안휘성(安徽省) 남서부에 있는 도시 이름. 양자강(揚子江) 연안에 위치하여 예로부터 상업이 발달하였으며, 차(茶)와 임산물(林産物)의 집산지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안경(安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안관후(安寬厚)와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안중후(安重厚)의 아버지로, 검참판(檢參判)과 검교 한성윤(檢校漢城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경공(安景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의 죄를 감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탄핵을 받음.
1347~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경량(安敬良)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를 지낸 안종원(安宗源)의 아들. 태조(太祖) 때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 편찬에 참여함.
?~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경률(安景嵂)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순흥(順興).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안종도(安宗道)의 아버지로, 익위사 익위(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무신
-
안경빈(安敬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58년(명종 13) 식년 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였고, 회덕(懷德) 등 여러 지방을 다스릴 때 선정을 베풀었으며,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1526~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안경서(安慶緖)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안녹산(安祿山)의 둘째 아들로, 편애에 불만을 갖고 아버지인 안녹산을 살해하였다가 사사명(史思明)에게 죽임을 당함.
?~759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안경윤(安景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 동부 주부(東部主簿) 안세희(安世熙)의 큰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안경인(安景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권호문(權好文)의 장인으로, 어려서부터 유자(儒者)의 행실이 있었으나, 26세의 젊은 나이에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안경창(安慶昌)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花庄寺)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ㆍ이이(李珥) 및 조식(曺植)ㆍ노사신(盧思愼)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안계담(安季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예빈시 참봉(禮賓寺參奉) 안봉조(安奉祖)의 아버지이자 동부 주부(東部主簿) 안세희(安世熙)의 할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계송(安繼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음직(蔭職)으로 돈녕부 직장(敦寧府直長)을 지냄. 남효온(南孝溫)의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에 행적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고경(顔杲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 상산군(常山郡)의 태수(太守)로 있을 때 종제(從弟)인 안진경(顔眞卿)과 함께 안녹산(安祿山)의 반란군에 맞서 싸웠으나, 성이 함락되자 붙잡혀 낙양(洛陽)으로 압송된 뒤 죽임을 당함.
692~75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곡사(安谷祠)
조선 현종(顯宗) 때 경기도 남양(南陽)에 세워진 사당. 1721년(경종 원년)에 사액(賜額)되었으며, 홍섬(洪暹)ㆍ박세훈(朴世勳)ㆍ박세희(朴世熹)를 배향함.
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유적>건물>사당
-
안공신(安公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영(安瑛)의 아들로 부정(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관(安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순흥(順興). 갑자사화(甲子士禍)ㆍ을묘사화(乙卯士禍)를 목격한 뒤 여항산(艅航山)에 은거하여 산수를 읊으며 세간의 일에 전혀 관여하지 않음.
149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관(安瓘)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안민학(安敏學)의 첫째 아들로, 양배선(楊拜善) 등과 교류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안관후(安寬厚)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검참판(檢參判)을 지낸 안경(安璟)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ㆍ대사간(大司諫)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냄. 다섯 형제가 모두 과거에 급제함.
14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