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노공집(顔魯公集)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안진경(顔眞卿)의 문집. 15권. 안진경의 대표적 저술과 장중(莊重)한 문장을 볼 수 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안녹산(安祿山)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현종의 신임을 얻어 절도사(節度使)가 된 후 병력을 장악하여 난을 일으킴. 중원(中原)까지 쳐들어갔으나, 아들 안경서(安慶緖)와 공모한 측근에 의해 피살됨.
703?~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안담(安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로, 안민학(安敏學)의 아버지.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성수침(成守琛)과 교류하고, 성현도 찰방(省峴道察訪)을 지냄.
?~15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담(安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여지(安汝止)의 동생이며 김용(金涌)의 사돈으로, 구봉령(具鳳齡) 등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하고,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당(安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우의정ㆍ영중추부사 등을 지냄.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아들 안처겸(安處謙)ㆍ안처근(安處謹)과 함께 사사(賜死) 되었으나, 명종(明宗) 때 복관됨.
1461~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돈후(安敦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검참판(檢參判) 안경(安璟)의 아들이고 좌의정(左議政) 안당(安瑭)의 아버지이며, 안관후(安寬厚)의 동생.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동(安東)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주(慶州)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大邑)으로 정치ㆍ행정ㆍ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유교 문화의 본고장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안동권씨(安東權氏)
고려 창업(創業)에 큰 공을 세운 태사공(太師公) 권행(權幸)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래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인 김씨(金氏)였으나 권씨(權氏)로 사성(賜姓)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집단>성씨
-
안동김씨(安東金氏)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손자 김숙승(金叔承)을 시조로 하는 구안동(舊安東) 계통과, 신라 말에 고려 태조(太祖)를 도와 공을 세운 김선평(金宣平)을 시조로 하는 신안동(新安東)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안동 , 인명>집단>성씨
-
안락당집(顔樂堂集)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김흔(金訢)의 문집. 4권 2책. 목판본. 아들 김안로(金安老)가 편집하여, 영천 군수(榮川郡守) 권오기(權五紀)가 간행함. 남곤(南袞)ㆍ강흔(姜渾)의 서문과 김안국(金安國)의 발문(跋文)이 전함.
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서명
-
안로(安璐)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순흥(順興). 안당(安瑭)의 손자이며 안처겸(安處謙)의 아들로, 《기묘당적보(己卯黨籍補)》 등을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안망지(安望之)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안숙로(安叔老)의 아들이며, 안맹담(安孟耼)의 아버지. 함길도 관찰사(咸吉道觀察使)와 공안부 윤(恭安府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맹담(安孟耼)
조선 세종(世宗)의 부마ㆍ서예가. 본관은 죽산(竹山). 함길도 관찰사(咸吉道觀察使) 안망지(安望之)의 아들로, 세종의 딸 정의공주(貞懿公主)와 혼인함. 초서(草書)를 잘 쓰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며, 음률(音律)ㆍ약물(藥物)에도 밝음.
1415~14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안명세(安名世)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박영(朴英)의 문인. 사관(史官)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전말을 직필(直筆)한 시정기(時政記)를 작성하였으나, 한지원(韓智源)의 밀고로 체포되어 사형당함.
151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목(安牧)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검교찬성사(檢校贊成事)를 지낸 안우기(安于器)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충숙왕 때 이군해(李君侅) 등과 함께 인사권을 관장함.
1290~136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안몽원(安夢黿)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몽윤(安夢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 때 왜군을 토벌하였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군량보급에 힘쓰고 서울 안현(鞍峴) 전투에서 공을 세워 순양군(順陽君)에 봉해짐.
1571~165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몽익(安夢益)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순계군(順溪君) 안세복(安世復)의 첫째 아들이자,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형.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몽척(安夢陟)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순계군(順溪君) 안세복(安世復)의 셋째 아들이자,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동생.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문개(安文凱)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안향(安珦)의 재종질(再從姪). 충숙왕이 원(元) 나라에 억류되어 있을 때 충절을 바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되고, 순흥부원군(順興府院君)에 봉해짐.
1273~133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