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민학(安敏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경(經)ㆍ사(史)ㆍ백가(百家)를 섭렵함. 이이(李珥)ㆍ정철(鄭澈) 등과 교유하고, 임진왜란 때는 소모사(召募使)로 활동하였으며, 만년에는 학문에 전념함.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방걸(安邦傑)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광주안씨(廣州安氏)의 시조. 통일신라 말기에 귀화한 중국 당(唐) 나라 종실(宗室) 출신인 이원(李瑗)의 둘째 아들로, 태조 때 모반(謀叛)을 진압하여 대장군(大將軍)에 오르고, 광주군(廣州君)으로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안방경(安方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안순(安恂)의 아들. 명종(明宗) 때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문정왕후(文定王后)와의 불화로 외직으로 나감. 영흥 부사(永興府使) 등을 지낸 후 용인(龍仁)에 낙향함.
1513~15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안방준(安邦俊)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등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켜 항쟁함. 관직을 여러 번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보성(寶城) 우산(牛山)에 들어가 후진 양성에 전념함.
1573~165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방형(安邦炯)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耼)의 손자이자,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籖) 안종전(安從㙉)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14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안범(安範)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군수(郡守)를 지낸 안수잠(安秀岑)의 아버지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변(安邊)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현종(顯宗) 때 도호부를 설치했으나 조선 태종(太宗) 때 조사의(趙思義)가 반란을 일으켜 감무(監務)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도호부로 환원됨. 경원선(京元線)과 동해 북부선(北部線)의 분기점(分岐點).
함경도>안변 , 지명>행정지명
-
안보(安輔)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안축(安軸)의 동생.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합격하여 벼슬하다가 귀국한 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동경 유수(東京留守) 등을 지냄.
1302~135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보문(安普文)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동궁 시직(東宮侍直)을 지낸 안숙량(安叔良)의 아들로, 현량(賢良)으로 천거되어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 등을 지냄.
1427~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안봉서원(安峰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세워진 서원. 이장경(李長庚)ㆍ이조년(李兆年)ㆍ이직(李稷) 등을 배향함.
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안봉조(安奉祖)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안계담(安季耼)의 아들이자 동부 주부(東部主簿) 안세희(安世熙)의 아버지로, 예빈시 참봉(禮賓寺參奉)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분(安奮)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정도전(鄭道傳)의 아버지인 정운경(鄭云敬)의 외삼촌으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분당시집(安分堂詩集)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이희보(李希輔)의 시집. 일부 시편(詩篇)이 정사본(精寫本)으로 전해짐. 2권 1책.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안빈세(安貧世)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외손.
1445~147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사(顔駟)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무제(武帝) 때의 문신.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 등 3세(世)를 섬겼으나 관운(官運)이 트이지 않아 평생 낭서(郞署)에 머물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사경(安社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仁)의 아버지. 벽상공신(壁上功臣) 및 삼한삼중대광(三韓三重大匡)에 책록되고, 판호조사(判戶曹事)ㆍ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사공신(安社功臣)
고려시대 사직(社稷)을 안정시켰다고 인정된 신하에게 내린 공신 칭호. 유숙(柳淑)ㆍ최영(崔瑩)ㆍ심덕부(沈德符)ㆍ정몽주(鄭夢周)ㆍ이성계(李成桂) 등에게 하사함.
한국>고려시대 , 법제>제도
-
안사언(安士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안자흠(安子欽)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에 문과(文科)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사웅(安士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제검(提檢) 안자흠(安子欽)의 아들이자 이조 좌랑(吏曹佐郞) 안사언(安士彦)의 동생으로, 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내고 청빈(淸貧)한 생활을 함.
1529~15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사지란(安史之亂)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안녹산(安祿山)과 사사명(史思明) 등이 일으킨 반란. 이후 당 나라는 절도사(節度使)가 병권(兵權)을 장악하여 지방분권화 현상이 강화되고, 양세법(兩稅法)으로 전환됨.
755~763 중국>당 , 중국 , 사건>역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