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산(安山)
경기도 남서부 서해안에 인접해 있는 고을 이름.
경기도>안산 , 지명>행정지명
-
안산서원(安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세운 영당(影堂)으로, 1624년(인조 2)에 서원으로 승격됨. 1680년(숙종 6)에 사액되었으며, 이장경(李長庚)ㆍ이백년(李百年)ㆍ이인복(李仁復)ㆍ이숭인(李崇仁)ㆍ이직(李稷) 등을 배향함.
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안석(安碩)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향리(鄕里)에 은거하고, 세 아들 안축(安軸)ㆍ안보(安輔)ㆍ안집(安輯)과 함께 4현(四賢)으로 불림.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선(安璿)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관기(官紀)의 확립과 풍속(風俗)의 교화에 힘쓰고,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으로서 언관(言官)의 임무를 수행함.
1440~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선무(安善武)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충좌위 호군(忠佐衛護軍)을 지낸 안인(安禋)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안선원(安善元)
조선 전기의 유학. 이산해(李山海)의 《아계유고(鵝溪遺稿)》에 안선원의 전기(傳記)인 〈안당장전(安堂長傳)〉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문사>유학
-
안섬(安暹)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성(安省)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학사(寶文閣直學士)ㆍ상주 판관(尙州判官)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참찬(參贊) 등을 지냄.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성철(安成哲)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순흥부원군(順興府院君) 안문개(安文凱)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세복(安世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70년(선조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풍저창 직장(豊儲倉直長)을 지내고, 순계군(順溪君)에 봉해짐.
1541~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안세준(安世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첨정(僉正)을 지낸 안담(安霮)과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안여지(安汝止)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세형(安世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주서(注書) 안함(安馠)의 아버지로, 사포(司圃)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세희(安世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참봉(參奉) 안봉조(安奉祖)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동부 주부(東部主簿) 등을 지냄.
1481~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수(安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울진 훈도(蔚珍訓導)를 지낸 안처정(安處貞)의 아들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ㆍ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등을 역임하였음.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안수(安璲)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처명(安處明)의 아들로, 1549(명종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수(晏殊)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재상ㆍ문인. 범중엄(范仲淹)의 스승이자 부필(富弼)의 장인으로, 재상을 지내고 한기(韓琦)ㆍ구양수(歐陽修) 등을 추천함. 시문(詩文)에 뛰어나 고아한 풍격의 사(詞)를 지음.
991~105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안수잠(安秀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전함사 별좌(典艦司別坐)를 지낸 안범(安範)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148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숙량(安叔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낸 안보문(安普文)의 아버지로, 동궁 시직(東宮侍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안숙손(安叔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낸 안홍(安鴻)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유학
-
안숙천(安叔千)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 장종(莊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무예에 뛰어났으나 글자를 깨우치지 못해 하는 짓이 비루하였으므로, 당시 사람들에게 몰자비(沒字碑)라고 불렸음.
881~95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