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순(安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영흥 부사(永興府使) 안방경(安方慶)의 아버지로, 전함사 별좌(典艦司別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순(安純)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조선의 개국공신 안경공(安景恭)의 아들로, 판호조사(判戶曹事)ㆍ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등을 지냈으며 국가 재정 관리에 뛰어나 명성을 얻음.
1371~144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계비(繼妃). 청주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세자빈에 간택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에 병사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齊安大君)과 현숙공주(顯肅公主)가 있음.
?~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안숭선(安崇善)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안경공(安景恭)의 손자. 1420년(세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ㆍ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냄.
1392~1452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안숭세(安崇世)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단양 군수(丹陽郡守)를 지낸 안중담(安仲聃)의 첫째 아들로, 참군(參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무신
-
안승명(安承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을 지낸 안용(安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안승종(安承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안건(安建)의 아들. 1525년(중종 20)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예천(醴泉)에 은거하며 이황(李滉)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안시성전투(安市城戰鬪)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안시성(安市城)에서 고구려와 당(唐) 나라 사이에 벌어진 싸움. 당 태종(太宗)이 이적(李勣)과 함께 안시성을 공격하였으나, 성주(城主) 양만춘(楊萬春)이 성을 굳게 지켜 함락시키지 못하고 철수함.
645 한국>고구려 , 사건>전쟁
-
안씨가훈(顔氏家訓)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수(隋) 나라의 문인ㆍ학자인 안지추(顔之推)가 후손들에게 남긴 유훈서(遺訓書). 2권 20편. 가족제일주의에 입각하여 유교ㆍ불교 사상을 절충한 학문 연구방법을 제시하고, 귀족들의 처세 방침과 정치ㆍ사회ㆍ사상ㆍ풍속 등에 걸친 남북조 사회를 묘사하여 사료적 가치가 높음.
중국>수 , 중국 , 문헌>서명
-
안약우(顔若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진덕수(眞德秀)의 제자로, 《심경(心經)》에 찬주(贊註)를 달아 1234년 천주(泉州)에서 간행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안양군(安陽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셋째 아들.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연산군(燕山君)의 생모를 폐출(廢黜)시켰다는 이유로 어머니 귀인정씨(貴人鄭氏)와 동생 봉안군(鳳安君)과 함께 사사(死賜) 되었으나 1506년(중종 1)에 복직(復職)됨.
1480~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안여지(安汝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임억령(林億齡)ㆍ나세찬(羅世纘) 등과 교유함. 《석천시집(石川詩集)》과 《송재유고(松齋遺稿)》에 증시(贈詩)ㆍ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안연언(安延偃)
중국 당(唐) 나라의 무인(武人). 이란계 사람으로, 안녹산(安祿山)의 아버지, 혹은 양아버지라고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안연지(顔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내고,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에 통달하여 삼세인과(三世因果)의 설을 주장함. 문장에 뛰어나 사영운(謝靈運)과 함께 ‘안사(顔謝)’로 불림.
384~4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안영(安瑛)@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의 의병(義兵)에 들어가 싸우다가 전사함.
1565~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안영(安瑛)@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안공신(安公信)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영(晏嬰)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영공(靈公)~경공(景公) 때의 재상. 제 나라의 어진 재상으로 관중(管仲)과 비견되고, 어떤 권력에도 굽히지 않는 지조가 있었음.
?~B.C.50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안용(安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안승명(安承命)의 아들로, 1558년(명종 3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용지(安勇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산 부사(善山府使) 안우(安宇)의 아버지로, 순천 부사(順天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우(安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밀양(密陽)ㆍ평산(平山)ㆍ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