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우(安祐)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탐진(耽津). 최영(崔瑩) 등과 함께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평정하고 기철(奇轍)을 주살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됨. 재상 김용(金鏞)과 함께 정세운(鄭世雲)을 살해한 뒤, 그 또한 김용의 하수인에게 살해됨.
?~136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안우(安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김종직(金宗直)에게 수학하고 김굉필(金宏弼)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였으며, 효행(孝行)으로 당대에 이름이 높았음.
1449~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안우기(安于器)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의 아들. 충렬왕 때 국학좨주(國學祭酒)로 최응(崔凝)과 함께 과거를 주관하였고, 우부승지(右部承旨)ㆍ밀직부사(密直副使) 등을 역임하였음.
1265~132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원(安瑗)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조선 건국 후 정치 참여를 거부하였으나, 태종(太宗)의 간청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 나라에 다녀왔으며, 외척으로서 횡포를 부리던 민무구(閔無咎) 형제를 탄핵하였음.
1346~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원린(安元璘)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중서평장정사(中書平章政事) 안우(安祐)의 아버지로, 검교중추원사(檢校中樞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안원숭(安元崇)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 요직(要職)을 지내고, 순성군(順城君)에 봉해짐.
130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원형(安元衡)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1341년(충혜왕 후2)에 급제하여 밀직사사(密直司事)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안위(安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명종 때 병조 판서가 되어 국방을 주관하면서 병학(兵學)에 재능을 나타내고, 양계(兩界)에 대한 국방을 강화하고자 진보(鎭堡)의 설치를 장려함.
1491~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유자(晏孺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 경공(景公)의 총첩(寵妾)인 예희(芮姬)의 소생으로, 경공이 죽자 국하(國夏)와 고장(高張)의 도움으로 왕에 올랐으나, 천첩 출신임을 꺼려 양생(陽生)을 추대한 대부 전걸(田乞) 등에 의해 살해됨.
?~B.C.4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안윤덕(安潤德)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안동 판관(安東判官) 안팽로(安彭老)의 아들.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부원수(副元帥)가 되어 지휘하고,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단군(檀君)과 기자(箕子)의 사당을 수축(修築)함.
1457~153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윤손(安潤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 때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이 되어 기강을 확립하고, 회령 통판(會寧通判)으로 있을 때 선정으로 칭송을 받음. 중종 때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450~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음(安陰)
경상도 함양(咸陽)과 거창(居昌)의 일부 지역을 관장했던 조선 전기의 행정구역명.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지명>행정지명
-
안응국(安應國)
조선 전기의 양인. 이산해(李山海)가 유배된 평해(平海)의 황보리(黃保里)에 살던 사람으로, 이산해의 《아계유고(鵝溪遺稾)》에, 그의 전기(傳記)인 〈안주부전(安主簿傳)〉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기타인명>양인
-
안응규(安應奎)
조선 전기의 유학. 향교(鄕校)의 훈도(訓導)를 역임하였으며,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응세(安應世)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단양군수(丹陽郡守)를 지낸 안중담(安仲聃)의 아들. 남효온(南孝溫)ㆍ김시습(金時習) 등과 교유하고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나, 26세의 나이에 요절함.
1455~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안응창(安應昌)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아들로, 대군 사부(大君師傅) 등을 지냄.
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인(安禋)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순흥(順興).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안선무(安善武)의 아버지로, 충좌위 호군(忠佐衛護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무신
-
안임(安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낸 안자유(安自裕)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자미(安子美)
고려 신종(神宗) 때의 무신. 순흥안씨(順興安氏)의 시조로, 흥위위(興威衛) 보승별장(保勝別將)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무신
-
안자성(安子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안초(安迢)의 아들로, 공주 목사(公州牧使)를 지냈음.
1447~151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