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자온(安自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유학(幼學) 안경인(安景仁)의 아버지로, 부장(部將)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안자유(安自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임(安恁)의 아들로, 안명세(安名世)와 절친함. 《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517~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자춘추(晏子春秋)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영공(靈公)~경공(景公) 때의 재상인 안영(安嬰)의 언행(言行)을 기록한 책. 내편(內編)은 간(諫)ㆍ문(文)ㆍ잡(雜) 각각 상하 6편, 외편(外編)은 2편.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안자흠(安子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형조 참판(刑曹參判) 안윤손(安潤孫)의 아들이자 이조 좌랑(吏曹佐郞) 안사언(安士彦)의 아버지로, 제검(提檢)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장(安長)
신라 경문왕(景文王) 때의 거문고 명인. 지리산에 은거한 거문고의 거장 귀금선생(貴金先生)에게 청장(淸長)과 함께 가서 거문고를 배운 다음 아들 안극상(安克相)ㆍ안극종(安克宗)에게 전수함.
한국>통일신라 , 인명>예술인>음악인
-
안재집(安齋集)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임(成任)의 문집. 1질. 허훈(許薰)의 《방산집(舫山集)》에 서문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안전(安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이황(李滉)ㆍ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조식(曺植)과 친분이 두터웠음. 이이보다 23살이나 많으면서도 그의 문하에서 수학(受學)하였으며, 음죽 현감(陰竹縣監)ㆍ단성 현감(丹城縣監) 등을 지냄.
151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안전(安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순흥(順興). 안처순(安處順)의 아들이며 매담(梅潭) 안창국(安昌國)의 아버지로, 노진(盧禛)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함.
1518~157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문사>문인
-
안정(安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안처선(安處善)의 아들.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곤양(昆陽)으로 유배되었다가 사면되었으며, 특히 그림에 뛰어나 매화와 대나무를 잘 그렸음.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안정란(安庭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안당(安塘)의 서얼 증손으로, 중국말에 능하여 윤근수(尹根壽)ㆍ김성일(金誠一)의 명(明) 나라 사행(使行) 때 동행하였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사련(宋祀連)의 무덤을 파 시신을 훼손시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정복(安鼎福)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실학(實學)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을 세밀히 고증한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제(安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10대 황제. 재위 396~418. 효무제(孝武帝)의 아들로, 404년 환현(桓玄)이 난을 일으키자 제위(帝位)를 선위(禪位)함. 환현을 토벌한 유유(劉裕)에 의해 복위(復位)되었으나 살해됨.
382~4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안제(安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6대 황제. 재위 106~125. 청하왕(淸河王) 유경(劉慶)의 아들로, 상제(殤帝)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었으나 등태후(鄧太后)의 섭정으로 실권을 행사하지 못함.
94~12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안제(安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이황(李滉)ㆍ구봉령(具鳳齡)의 문인(門人). 충청 도사(忠淸都事)ㆍ용궁 현감(龍宮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운 공(功)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음.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존도(安尊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한백당(寒栢堂) 안숭효(安崇孝)의 손자이며, 취우정(聚友亭) 안관(安灌)의 아버지.
?~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안종도(安宗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경률(安景嵂)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아 왜적과 싸움. 이감(李戡)ㆍ이중경(李重慶)과 동향(同鄕) 친구로, 권신 이량(李樑)의 비호 아래 현직(顯職)을 두루 지냄.
1522~16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종생(安從生)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개성부 유후(開城府留後) 안성(安省)의 아들이며,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안팽명(安彭命)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종원(安宗源)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했음.
1325~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종전(安從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안방형(安邦炯)의 아들로,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籖)을 지냄.
1493~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주(安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1528년(중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정(監正)을 지냄.
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