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주(顔籒)
중국 당(唐) 고조(高祖)~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고 정치에도 능통하여 조령(詔令)의 기초를 맡았으며, 훈고학(訓詁學)에 정통하여 《오경정의(五經正義)》 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한서(漢書)》에 주석을 가함.
581~64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중관(安重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킨 안방준(安邦俊)의 생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안중담(安仲聃)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상호군(上護軍) 정효충(鄭孝忠)의 사위로, 광흥창 사(廣興倉使)ㆍ단양 군수(丹陽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중돈(安重敦)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킨 안방준(安邦俊)의 아버지로, 1561년(명종 1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4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안중묵(安重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박광전(朴光前)ㆍ정개청(鄭介淸)에게 수학하고, 정구(鄭逑)의 효렴(孝廉) 천거로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ㆍ의영고 직장(義盈庫直長) 등을 지냄.
1556~160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중후(安重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검참판(檢參判) 안경(安璟)의 아들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내고,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증(安嶒)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성리학의 이론을 깊이 터득하고 후일에는 실학사상에 심취함. 세자시강원 사서(世子侍講院司書)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이후 낙향하여 평생 학문에 전념함.
1494~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지(安止)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찬성(贊成) 안사종(安士宗)의 아들로, 1445년(세종 27) 권제(權踶)ㆍ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지었으며, 시(詩)ㆍ서(書)에 능하였음.
1377~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안지귀(安知歸)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구(安玖)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전주 부윤(全州府尹) 등을 지내고, 《문종실록(文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지추(顔之推)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수(隋) 나라의 문인ㆍ학자. 양 나라에서 태어나 북제(北齊)와 북주(北周)를 거쳐 수 나라에서 벼슬함. 학식이 뛰어나고 유불(儒佛)의 조화를 주창하였으며, 가족과 가정도덕의 확립을 역설한 《안씨가훈(顔氏家訓)》을 지음.
531~591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안진(安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하였으며, 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안진(安震)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이제현(李齊賢) 등과 더불어 충렬왕(忠烈王)ㆍ충선왕(忠善王)ㆍ충숙왕 3조(朝)의 실록을 찬수하고, 공민왕 즉위 후 조일신(趙日新)의 일파가 되어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냄.
?~136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진경(顔眞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헌부상서(憲部尙書)에 임명되나 권신(權臣)에게 미움을 받아 번번이 지방으로 좌천됨. 해서ㆍ행서ㆍ초서의 각 서체에 모두 능하여 많은 걸작을 남김.
709~785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안징재(顔徵在)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인물. 공자(孔子)의 어머니. 60세가 넘은 숙량흘(叔梁紇)의 둘째 부인이 되어 이구산(尼丘山)에서 기도한 후 공자를 낳았다 함.
?~B.C.52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안창(安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영흥 부사(永興府使) 안방경(安方慶)의 아들.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으로,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155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문신
-
안창국(安昌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죽암(竹巖) 안전(安瑑)의 아들로, 금천도 찰방(金泉道察訪)을 지냈으나 얼마 후에 벼슬을 그만두고 초야에 은거함.
1542~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창세(安昌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 단양 군수(丹陽郡守) 안중담(安仲聃)의 둘째 아들이며, 월창(月窓) 안응세(安應世)의 형.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안처겸(安處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좌의정 안당(安瑭)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兪)를 지냄. 심정(沈貞)ㆍ남곤(南袞) 등을 제거하려 했다는 송사련(宋祀連)의 무고로 인해 처형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처근(安處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좌의정 안당(安瑭)의 아들로,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를 지냈으며, 형인 안처겸(安處謙)이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의 대신을 모해하려 하였다는 죄목으로 처형될 때 이에 연좌되어 죽음.
149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처명(安處明)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안침(安琛)의 맏아들.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안성 군수(安城郡守)ㆍ회양 부사(淮陽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