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처선(安處善)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497년(연산군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처성(安處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공조 판서를 지낸 안침(安琛)의 아들로, 선공감 정(繕工監正)ㆍ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냄.
1477~151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처순(安處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낸 안기(安璣)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이행(李荇)과 함께 연루되었으나 화를 면함. 성균관 학관(成均館學官)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1492~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안처신(安處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안침(安琛)의 막내 아들로, 빙고 별제(氷庫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처정(安處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선손(安善孫)의 아들이며,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안수(安琇)의 아버지로, 울진 훈도(蔚珍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처직(安處直)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제용감 부정(濟用監副正)을 지낸 안선(安璿)의 아들로, 문화 현령(文化縣令)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처함(安處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수찬(修撰)ㆍ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하였으며, 형 안처겸(安處謙)이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의 대신을 모해하려 하였다는 혐의로 처형당할 때 처가인 용인(龍仁)으로 낙향하여 죽음을 면하였음.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천보(安天保)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천선(安天善)의 아들이며, 소헌왕후(昭憲王后)의 외조부. 고려 말에 벼슬하다 면직되어 오랫동안 은거하였으며, 조선 때 등용되어 좌의정 등을 지냄.
1339~14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안천서(安天瑞)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性理學)에 대해 토론하였으며, 성혼(成渾)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청(安淸)
중국 후한(後漢)의 역경승(譯經僧)ㆍ불교학자. 안식국(安息國)의 왕자로, 출가하여 아비담(阿毘曇) 연구와 선정(禪定)에 힘씀. 중국에서 불경을 한역함.
?~17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안초(安迢)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안계인(安季仁)의 아들이며, 안자성(安子誠)의 아버지로, 세조(世祖)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성종 때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1420~148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축(安軸)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급제하고 성균학정(成均學正)ㆍ판정치도감사(判整治都監事) 등을 지냄. 충렬왕(忠烈王)ㆍ충선왕(忠宣王)ㆍ충숙왕(忠肅王)의 실록 편찬에 참여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침(安琛)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순흥(順興).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문장과 송설체(松雪體)에 능함.
1445~151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안팽로(安彭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안종생(安從生)의 아들이자, 안팽명(安彭命)의 형이며, 복천군(福川君) 권개(權愷)의 사위로, 안동 판관(安東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팽명(安彭命)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안종생(安從生)의 아들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집의(執義)ㆍ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등을 지냄으로써 주로 대성(臺省)에서 명성을 떨침.
1447~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평대군(安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셋째 아들.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당대 제일의 명필(名筆)로 꼽힘.
1418~14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왕자
-
안하(顔何)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중국 문묘(文廟)에 배향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안한(安澣)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심수경(沈守慶)ㆍ송찬(宋贊) 등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안한(安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을 지냈음. 이황(李滉)의 《퇴계집(退溪集)》에 그에게 보낸 편지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한평(安漢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문하시중(門下侍中) 안사경(安社卿)의 아버지이며,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仁)의 조부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하였고,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